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북한 붕괴 시나리오 7단계, 마지막 두 단계는 시간문제”, 왜?

문동수 기자 조회수  

CIA 북한 붕괴론
中 북한 유입 가능성↑
“대규모 군사력 사라진다”

출처 : AP

최근 북한이 지속적인 도발을 감행하면서, 북한과 한국의 전쟁이 다시 발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 측이 ‘김정일 지우기’에 나서며 북한 조직 내에 내부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과거 국내에 큰 혼란을 주었던 ‘북한 붕괴론’이 다시금 떠오르고 있다.

북한 붕괴론이란 북한이 내부적인 모순 혹은 외부적인 충격과 같은 복합적 요인에 의해 붕괴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출처 : AP

북한 붕괴론이 처음으로 제기된 것은 지난 1998년 1월 21일로, CIA가 내놓은 ‘한국 엔드게임에 대한 위기 시물레이션’ 보고서에 등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붕괴론은 자원 고갈→체제 유지에 필요한 세력에게만 배급→주민들은 독자적 생존 선택→독자적 생존을 탄압→주민들의 조직적인 저항→군대가 주변국으로 탈북→북한 정권의 붕괴 이후 한반도 통일 순으로 진행된다.

북한 붕괴 시나리오의 단계에 따르면 현재 북한은 5단계까지 접근한 상황으로 보인다.

출처 : 조선중앙통신

앞서 북한이 1994년부터 약 6년간의 대기근을 겪으며 배급제도가 완전히 붕괴하면서 북한 주민들은 장마당으로 독자 생존을 택했다. 북한 정권이 이런 주민들의 생존 전략을 탄압했는데 그 예시가 바로 2009년 북한의 화폐개혁이다.

이후 코로나가 터지며 방역을 이유로 들어 국경 봉쇄를 선언하며 4단계까지 진행되었다. 최근 북한의 해외 노동자들이 단체로 파업하는 등 조직적인 시위까지 발생했다.

여기에 북한 내 반체제 정당조직의 발각 사건과 같은 반체제 사건들이 계속해서 일어나며 북한의 붕괴가 가까워졌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출처 : 유엔사령본부

북한 내부 주민들이 집단적인 저항을 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보아 아직은 김정은의 무력 통치에 대한 두려워 하는 걸로 보인다.

이를 뒤집어 보면 북한의 통제력이 한계치에 다다르거나 주민들의 저항이 북한 정권이 가지고 있는 통제력을 넘기는 순간 정권 붕괴로 가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북한 내부 체제에 대한 의심이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북한군이 주변국으로 탈북을 이어가는 과정은 쉽게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셔터스톡

군인들의 대거 이탈이 일어나면 북한이 가진 군사력이 크게 흔들린다. 당초 북한은 군 병력이 120만 명으로 세계 4위 수준의 규모를 자랑했다.

그러나 이런 군에서 이탈이 지속해서 이어진다면 북한이 자랑하는 대규모의 군사력이 사라지는 것이다. 시나리오의 6단계까지 도달하면 자연스럽게 7단계가 이어지는 것이다.

북한의 붕괴가 이루어진다면 중국이 북한을 유입할 가능성이 높아 중국 역시 ‘북한 붕괴론’에 관심이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 : 조선중앙통신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한 붕괴가 시간문제라고 판단한다. 북한이 최근 지속해서 한국을 향한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것 역시 군사력을 과시하여 주민들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지난 22일 북한은 동해상으로 여러 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추적·감시했다”라며 “미·일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고, 세부 제원은 종합적으로 분석 중”이라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author-img
문동수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1

300

댓글1

  • ㅈㄷㅇ는것들이 큰소리리치기는 그냥팍 역시빈깡통이 요란한다못해 깨질꺼다

[뉴스] 랭킹 뉴스

  • "걸리면 2,000만 원 벌금" 6월부터 음주단속, 이렇게 바뀐다
  • "계엄 일으킨 주체들 책임 안졌다" 내란 사태와 관련해 입장 밝힌 이재명
  • '입시 비리' 조민, 2심 결과 나왔다
  • ‘졸음’ 논란에 보수도 분노?... 윤석열 재판 태도에 쏟아진 쓴소리
  • 건진법사 집에서 발견됐다는 5,000만 원 신권, 출처는 어딜까?
  • "요즘 시대에..." 사흘째 정전 중이라는 아파트, 어디일까?

추천 뉴스

  • 1
    감기보다 흔한 잇몸병, 이제 333 양치법 변경으로 해결하세요

    기획특집 

  • 2
    "반려견 배설물까지.." 2년 동안 고등학생 가스라이팅한 무속인, 결국

    사건사고 

  • 3
    알고보니 환경오염의 주범이었다는 챗GPT, 살펴보니..

    기획특집 

  • 4
    일본인 초등학생 흉기로 살해한 중국인, 사형 당했다

    사건사고 

  • 5
    이재명 한마디에 주가 들썩이는 '이 종목' 뭐길래?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1981년생이 왜..." 식품업계에서 불고 있는 레트로 열풍, 이유는?

    기획특집 

  • 2
    "어쩐지 비싸더라니..." 日 유명 호텔들, 수십 년 카르텔 밝혀졌다

    기획특집 

  • 3
    "감히 나를..." 60대 남성이 파출소를 자동차로 들이받은 이유

    사건사고 

  • 4
    "건강식 아니였어?" 매일 먹는 '이것'에서 1급 발암 물질 나왔다

    오피니언 

  • 5
    "넷플릭스 1위" '폭싹 속았수다' 열풍 이을 韓 드라마의 정체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