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조용현 기자 조회수  

1위 경상북도
전국 평균 20% 차이
남아선호사상의 결과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출처: SNS 갈무리

최근 한국 사회에서 결혼과 출산은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미혼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약 20% 더 많은 것으로 조사돼서 화제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은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를 공개했다. 해당 조사는 조성호 부연구위원이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미혼 남성의 수는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가 짝을 이루더라도 상당한 수의 미혼 남성은 남게 되는 것이다. 

인구학적으로 봤을 때 이러한 현상은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그만큼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특히 심각한 상황이다.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경북도청/= 뉴스1

특히 농촌 가구가 밀집된 경북, 경남, 충북 지역이 가장 높은 성비 불균형 현상을 지니고 있었다. 보사연에 따르면 가장 높은 성비 불균형을 지닌 지역은 경북으로 집계됐다. 경북은 전국 평균 성비 불균형보다 약 15% 더 높은 34.9%를 기록하여 1위의 불명예를 가졌다. 

이어 2위는 경남 지역으로 33.2%, 3위는 충북으로 31.7%를 기록했다. 전국에서 30%가 넘는 성비 불균형을 기록한 지역은 이 세 곳이 유일했다.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반면 가장 낮은 성비 불균형을 기록한 지역은 서울이었다. 서울의 성비 불균형은 2.5%를 기록하면서 압도적으로 낮은 비율을 자랑했다. 이어 부산이 16.2%, 인천 21.0%, 경기 21.2%, 대구 21.7%로 성비 비율 하위권을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극단적인 성비 불균형은 한국 사회에 오랜 기간 동안 뿌리 내린 ‘남아선호사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연합뉴스에 따르면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역별 미혼남성 비율 높은 도시 3위 충북, 2위 경남...1위는?
출처: 뉴스1

그 후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출생성비는 높은 수준을 기록하다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이유로 결혼 성비 불균형은 1990년 초반 나타나기 시작했고, 200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악화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에 대해 남아선호사상과 급격한 출산율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 및 초음파 검사 등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 등을 요인으로 꼽았다. 

보사연은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뛰어넘는 수준이 지속됐다”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이들이 결혼 적령기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 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사연은 “결혼 성비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년에서 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즉 미혼 남성 비율이 가장 높았던 경북, 경남, 충북 지역은 당시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author-img
조용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국제] 랭킹 뉴스

  • "싫어했던 유일한 종교인?" 트럼프와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숨겨진 전쟁
  •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 마크 저커버그, 백악관 옆 ‘300억 저택’ 매입한 이유
  • "이틀 만에 384조 증발" 난리났다는 엔비디아, 현재 상황
  •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추천 뉴스

  • 1
    “여성 찌르고도…” 미아역 칼부림 남성, 범행 뒤 행동에 시민들 경악

    사건사고 

  • 2
    “4년 만에 95억 올랐다” 이 동네 집값, 대체 왜 이러나 봤더니

    기획특집 

  • 3
    유상철 감독 제자에서 월드 클래스 축구선수 된 소년 근황

    기획특집 

  • 4
    "소송 중에..." 삼성이 매달 구글에게 뒷 돈 받았던 이유

    사건사고 

  • 5
    "안 받을래요" 셰프들이 '미쉐린 스타' 거부하는 이유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국제 

  • 2
    "강남 아니야" 올해 1분기 아파트 가격 1등 여기였다

    오피니언 

  • 3
    국회의원 이철규 며느리도 '대마초 양성 반응' 나왔다

    사건사고 

  • 4
    "327억 주인 없어요?" 3년 뒤 '나라가 꿀꺽' 한다는 돈, 무엇일까

    오피니언 

  • 5
    술집 옆 테이블 핸드폰 훔쳐간 남성, 알고보니 경찰이었다

    사건사고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