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불만 껐다고 끝난 게 아니었다”… 서울 80% 사라진 뒤, 더 큰 문제 따로 있었다

허승연 기자 조회수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경북과 경남을 휩쓴 대형 산불이 진화됐지만, 피해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멈춰 있다. 이번 산불로 영남 지역에서 피해를 본 산림 면적은 약 4만 8,000헥타르로, 서울 면적의 80%에 달한다. 경북 지역에서는 주택 3,369채가 전소되고, 이 중 98%가 전소됐다. 이로 인해 3,773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농작물 피해는 558헥타르이며, 그중 493헥타르는 사과와 자두 등 과수원이었다. 또한 시설하우스 281동, 축사 51동, 농기계 1,369대가 불에 탔으며, 가축 5만여 마리가 폐사했다.

일부 지역 주민들은 농번기를 앞두고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안동의 한 주민은 사과나무 1,000평이 모두 타버려 올해 농사를 망쳤다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눈앞이 깜깜하다”라고 전했다. 영양의 또 다른 주민은 “농기계와 오미자밭, 자두밭이 모두 불에 타 이제 뭐 해 먹고 살아야 되나”라며 당장 생계가 막막하다고 호소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어촌 지역도 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보았다. 영덕에서는 어선 19척이 전소됐고, 6곳의 양식장이 피해를 보았다. 특히 한 양식장에서는 은어 약 50만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북 지역에서 산불로 피해를 본 면적은 4만 5,157헥타르로, 이는 축구장 약 6만 3,283개에 해당하는 규모다. 경북도는 이번 피해가 2022년 동해안 산불 당시의 9,000억 원보다 훨씬 큰 수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북도는 피해 조사가 끝나는 대로 철거 및 복구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지만, 피해 규모가 광범위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는 이재민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 마련이 우선되고 있다. 경남도는 피해 주민에게 1인당 30만 원의 긴급 지원금을 지급하고, 조립식 주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author-img
허승연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음료수 사줄까?" 강남에서 초등생 유인 사건 발생했다
  • 밀양 성폭행 가해자 신상 공개한 유튜버, 징역 3년 받았다
  • "범인은 이재명 아들이다?" 도봉역 벤츠 난동 사건, 루머까지 나왔다
  • "이재명, 음모 꾸미고 있다" 권성동 文 통계조작 두고 날린 발언
  •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았다는 140만 영화 리뷰 유튜버
  • 집값 통계 102회 조작했다는 문재인 정부, 내용 보니...

추천 뉴스

  • 1
    "법정 내 촬영 허가" 앞으로 재판 받은 '피고인 윤석열' 모습 확인할 수 있다

    사건사고 

  • 2
    "부동산 관망세인데..." 연일 최고가 경신 중인 지역, 어디일까?

    기획특집 

  • 3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4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 5
    "마음 편히 살겠다" MZ세대가 아파트 대신 선택한다는 주거 형태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사건사고 

  • 2
    OTT 시장 커지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PPL, 어떻게 달라졌을까?

    기획특집 

  • 3
    삼성전자 팔아버린 외국인 투자자, '이 종목'은 쓸어 담았다

    기획특집 

  • 4
    “포스코·현산 정면으로 붙었다”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 대어’라는 지역

    오피니언 

  • 5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