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무역전쟁이다” 트럼프 관세 도발에 캐나다·멕시코가 보복 카드로 꺼내 든 것

허승연 기자 조회수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무역 갈등 심화, 즉각 보복 조치
무역전쟁 확산, 경제 충격 우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간 무역 갈등이 불붙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각)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반발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 기업은 관세를 내야 한다”라며 관세 부과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그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기존 관세율을 10%포인트 추가 인상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며 “미국의 산업을 보호하려는 조치”라고 강조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반발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이 우리 경제에 일방적인 타격을 가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다”라며 155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그는 “플로리다 주스와 버번위스키를 사지 말고, 여름 휴가는 국내에서 보내라”라며 미국 제품 불매운동까지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라고 조롱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멕시코 역시 “미국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우리의 경제 주권을 침해하는 조치는 용납할 수 없다”라며 보복 관세 시행을 선언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경제부 장관에게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지시했다”라며 ‘플랜 B’ 가동을 예고했다. 구체적인 관세 품목과 규모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로이터 통신은 멕시코 정부가 돼지고기, 치즈, 농산물,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등에 5~20%의 보복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이번 관세 전쟁으로 미국 기업과 소비자도 피해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가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미 싱크탱크 캐피탈이코노믹스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현재 3.2%까지 치솟을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 가계의 연간 구매력이 평균 180만 원(약 1,245달러)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의 총 유효 관세율이 1946년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 산업계도 반발이 거세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제조업과 고용시장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며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 미국 철강노조(USW) 역시 “매년 약 1조 3,000억 달러 규모의 제품이 캐나다와 미국 국경을 넘나들며 140만 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 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다“라며, 이번 관세 조치가 양국 경제에 전방위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트럼프의 이번 조치로 한국 기업들도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삼성, 현대차, LG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은 미국 시장을 겨냥해 멕시코·캐나다에 생산기지를 세우는 ‘니어쇼어링(Nearshoring)’ 전략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용이 급증하면서 사업 전략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조만간 반도체, 철강, 제약, 석유·가스 등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혀 추가적인 보호무역 조치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무역국들과의 마찰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이번 조치를 단순한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역시 “긴장을 더 고조시키고 싶지는 않다”라며 트럼프와의 대화를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또한 WTO에 제소하면서도 미국과 협상을 지속할 뜻을 내비쳤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 정책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NBC는 트럼프가 유럽연합(EU)에도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만약 트럼프가 모든 수입품에 10~20% ‘보편 관세’를 도입한다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author-img
허승연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비보 전해진 구준엽 아내 유산 1,100억... 전남편 차지 될 수 있다고요?"
  • "짐 싸서 나가"...트럼프식 공무원 구조조정 뒤에 숨은 배후, 이 사람이었다
  • "쩨쩨하게 굴지마라?" 헌재 공격에 정청래가 날린 일침 한마디
  • 노벨 평화상에 트럼프 추천한 민주당 의원...국힘 발칵 뒤집혔습니다
  • “캐릭터 시장 강자 티니핑, 제작사가 웃지 못하는 이유”
    캐릭터 시장 강자 '티니핑' 제작사가 웃지 못하는 진짜 이유
  •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 챗 GPT 설계자와 ‘이것’이 달랐다"
//= do_shortcode('[get-ad-best-list slot_number=2300]'); ?>
//= do_shortcode('[get-ad-best-list slot_number=2300]'); ?>

추천 뉴스

  • 1
    국내 대기업 과징금 단골 2위는 삼성...1위는 '이 기업’

    오피니언 

    대기업 과징금 단골 2위는 삼성... 1위는 '이 기업’
  • 2
    노인들 ‘오픈런’ 하게 만드는 ‘이 정책’, 대체 뭐길래…

    사건사고 

    노인들 ‘오픈런’ 하게 만드는 ‘이 정책’, 대체 뭐길래…
  • 3
    "우리나라 15% 인상" 미국보다 높은 연회비 인상률인 곳의 정체

    오피니언 

  • 4
    “불법 승계 2심도 무죄”...등기이사 복귀 여부에 대한 이재용 반응

    뉴스 

  • 5
    스트레스 낮은 직업 요가강사, 플로리스트…반면 높은 직업 정리해보니 '충격'

    뉴스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각 직업군별 스트레스 이유 이거였다

지금 뜨는 뉴스

  • 1
    시가총액 3000억 떨어진 백종원의 더본코리아...또 악재 나왔습니다

    사건사고 

  • 2
    좌초 위기 맞았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반전 상황 맞은 뒤 ‘민주당’ 반응

    기획특집 

  • 3
    "한국인 밥심 소리는 이제 옛말"...한숨 나온다는 업계 상황

    사건사고 

  • 4
    “금융시장 사로잡은 통장...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이만큼이나 준다구요?”

    오피니언 

  • 5
    기다리던 엔비디아 납품 승인받은 삼성전자가 웃지 못하는 현실 이유

    기획특집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