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좌초 위기 맞았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반전 상황 맞은 뒤 ‘민주당’ 반응

이시현 기자 조회수  

동해안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
액트지오 부실기업 논란 이어져
“추경 통해 예산 복구하겠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앞서 탐사시추 단계에 돌입한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정치 혼란 속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기존 예상보다 최대 51억 7,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더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용역 보고서가 한국석유공사에 제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져서 화제다. 지난 2일 최대 51억 7,000만 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동해 울릉분지 일대에 더 매장돼 있다는 용역 보고서가 한국석유공사에 제출된 것으로 알려지며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특히 석유공사가 전문가들에게 의뢰해 추가 검증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이르면 오는 3월 중 검증 과정을 마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검증이 마무리된다면 동해의 석유와 가스 탐사 자원량은 지난해 발표된 최대 140억 배럴에 추가해 총 최대 191억 배럴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한국석유공사의 한 관계자는 “‘탐사 자원량 최소 6억 8,000만 배럴, 최대 51억 7,000만 배럴의 석유·가스가 울릉분지에 더 매장돼 있을 수 있다’라는 내용의 용역 결과 보고서가 지난해 12월 제출돼 이미 검증 절차를 밟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석유공사에 제출된 보고서는 미국의 심해 기술 평가 기관인 액트지오(ACT-GEO)가 작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액트지오는 지난해 6월 정부가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수 있다고 발표한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물리 탐사 분석을 진행한 기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 발견된 유망구조는 총 14개로, 탐사 성공률은 대왕고래 구조와 비슷한 20%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소 7,000만t에서 최대 4억 7,000만t의 가스, 최소 1억 4,000만 배럴에서 최대 13억 3,000만 배럴의 원유가 매장된 것으로 예측된다. 이 중 탐사 자원량이 가장 많은 구조의 이름은 ‘마귀상어(Goblin shark)’로, 이 구조에만 최대 12억 9,000만 배럴의 석유·가스가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자, 3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향후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통해 대왕고래 프로젝트(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 예산을 복구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이날 권 비대위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통해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4%에 달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에너지 자립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를 맞을 수 있다”라며 “에너지 안보 확립은 물론 경제적 파급력 또한 막대하다. 청년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삶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날을 세웠다. 이는 그가 “민주당은 대왕고래 프로젝트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앞세운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향후 대왕고래 프로젝트 예산을 복구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예산안에 497억 원의 1차 시추 예산안을 편성했지만,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야당 주도로 전액 삭감된 바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추경 논의 때 해당 예산의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공고히 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해 12월 20일 포항 앞바다에서 약 40㎞ 떨어진 대왕고래 유망구조에서 탐사시추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이달 중 시추선이 시료 채취를 마치면 한국석유공사가 오는 8~9월까지 정밀 분석에 착수할 방침이다. 한국석유공사는 5~6월쯤 1차 분석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의 브리핑으로 공개된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발표 직후부터 탐사 데이터 분석을 담당한 미국 기업 액트지오의 신뢰성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이는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단독으로 운영하는 사실상의 ‘1인 기업’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금 체납으로 법인 자격이 정지된 이력도 드러나며 논란은 가중됐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에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대왕고래를 대표적인 ‘윤석열 치적 사업’으로 규정하고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화력을 집중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유망구조 14개를 추가 발견하는 결과로 이어진 액트지오의 ‘울릉분지 추가 유망성 평가 용역’을 두고도 야당은 “부실기업인 액트지오에 특혜를 줬다”고 비판하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실제로 올해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는 정부 몫 1차 시추 예산인 497억 원을 전액 삭감됐다. 이에 따라 1차 시추 재원은 석유공사가 전부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미 부채가 총자산보다 많아 완전 자본 잠식 상태인 공사의 재무 구조가 더 악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알려지며, 1차 시추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이상 난국을 타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 ‘조기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을 둘러싼 여야 신경전이 격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날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최고 위원회를 통해 “추경에 대한 국민의힘의 의지가 진심이라면, 즉시 국정협의체를 가동해서 추경 논의를 시작하길 바란다”라고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이 국정협의체 논의 제안에 대한 화답 의지를 밝힘에 따라 여야의 추경 논의는 이르면 4일 열릴 국정협의체 실무협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기획특집] 랭킹 뉴스

  • 기다리던 엔비디아 납품 승인받은 삼성전자가 웃지 못하는 현실 이유
  • 줄 적자에도 14년 만에 품은 ‘김승연의 꿈’, 현재 실적 봤더니…
  • "아파트, 빌딩아니죠" 현대·롯데가 요즘 도심에 짓고 있는 건 바로...
    "아파트, 빌딩아니죠" 현대·롯데가 요즘 도심에 짓고 있는 건 바로...
  • "적극적으로 검토 중" 토지거래허가구역 풀리는 곳, 여기였다
    "적극적으로 검토 중" 토지거래허가구역 풀리는 곳...여기였다
  • 직장 내 괴롭힘 의혹 확산하는 MBC 아나운서, 처벌 가능한지 봤더니...
  • "삼성 주가 영향 받아" 4분기 주식 평가액 4.4조 감소한 곳의 정체
    "삼성 주가 영향 받아" 4분기 주식 평가액 4.4조 감소한 곳의 정체 
//= do_shortcode('[get-ad-best-list slot_number=2300]'); ?>
//= do_shortcode('[get-ad-best-list slot_number=2300]'); ?>

추천 뉴스

  • 1
    서울지방국세청의 한 부서가 ‘재계 저승사자’로 불리는 이유

    오피니언 

  • 2
    ‘반도체 호재’로 실수요와 갭투자 몰렸던 지역..."현재 비명만 난무하죠"

    국제 

  • 3
    "9급 300만 원 준다" 초임 인상에 선배 공무원 반전 반응

    사건사고 

  • 4
    月 관리비만 '763만 원'이라는 아파트, 이 지역에 누가 사나 봤더니…

    오피니언 

    月 관리비만 '763만 원'이라는 아파트, 이 지역에 누가 사나 봤더니…
  • 5
    “고용보험 대신 실업급여 신청 늘었다”...고용 한파에 정부 반응

    뉴스 

    “고용보험 대신 실업급여 신청 늘었다”...고용 한파에 정부 반응

지금 뜨는 뉴스

  • 1
    ‘출생시민권‘ 없애려던 트럼프를 미국 법원에서 막은 이유

    뉴스 

  • 2
    한국의 '계엄방지법' 추진, 일본은 왜 필요 없는지 봤더니...

    국제 

  • 3
    “한때 수학여행의 성지였는데...” 폐건물 무성한 '유령마을'로 변했다는 곳

    오피니언 

  • 4
    "새해부터 가격 올린 버거킹" 다른 곳은 어떤가 봤더니...

    사건사고 

  • 5
    엔비디아 주가 휘청이게 만든 중국의 '이 회사', 심상치 않습니다

    국제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