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원인은 바로…“ 영남, 역대급 산불 피해 진짜 이유 있었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산불에 가장 취약한 소나무
활엽수보다 2.4배 오래 타
경북 산림 면적 중 35% 차지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번 영남 산불이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된 것은, 산불 확산의 3요소인 기상, 지형, 연료 3요소가 모두 산불 확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갖췄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특히 연료의 경우 산불의 땔감이 되는 나무를 가리키는데, 경북 산불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소나무’라는 분석이 나온다.

소나무는 산불에 가장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수종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는 활엽수보다 1.4배 더 뜨겁게 타고 불이 지속되는 시간도 2.4배 더 길다. 소나무의 송진이 테라핀과 같은 정유 물질을 20% 이상 포함하고 있어 불이 잘 붙고 오래 타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또, 침엽수인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그대로 붙어 있어 수관화(樹冠火) 현상이 발생하기도 쉽다. 수관화는 나무에서 나무로 불길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대형 산불로 번지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수관화가 생기면 많은 불똥이 만들어지고 불이 수십∼수백m 날아가는 비화(飛火) 현상이 나타난다.

경북은 이러한 소나무가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겨 있는 지역이다. 27일 산림청 임업 통계 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경북 소나무(소나무·해송) 숲 면적은 45만 7,902㏊로 강원(25만 8,357㏊), 경남(27만 3,111㏊)보다 훨씬 넓었다. 산림 면적 중 소나무 숲이 차지하는 비율도 약 35%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지난 22일 산불이 시작된 의성을 비롯해 확산한 안동, 청송, 영양, 영덕에도 소나무 숲이 많았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 때문에 환경단체들은 산불 피해지에 소나무 식재 비중을 더 낮추고, 소나무 집중 지역에 비상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대책 등을 요구했다. 우리나라 중·남부 지역 온대 식생 환경을 고려했을 때 자연 복원을 하면 참나무류와 느티나무, 박달나무 같은 낙엽 활엽수가 주로 자라는 숲이 되기 때문에 인공조림보다 자연 복원이 산불 피해를 더 줄이는 방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산림 당국은 산불 피해지 복원 등 인공조림 땐 여전히 침엽수를 더 많이 심고 있다. 2014~2024년 10년 동안 산림 당국의 인공조림 현황을 수종별로 보면, 소나무를 포함한 침엽수는 13만 5,000ha를 차지했지만, 활엽수는 9만 ha에 그쳤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데에는 전체 산림의 66%를 차지하는 사유림 소유자들의 의지가 반영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주들로서는 후손을 위해서라도 이른바 ‘金 송이’를 낳는 소나무를 포기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에는 여름 폭염이 늦게까지 이어진 영향으로 가을철 송이 값이 등급에 따라 kg당 100만 원을 훌쩍 뛰어넘기도 했다. 강원도 지역 축제에서 1등급 양양 송이는 1kg에 140만 원에 팔렸고, 인터넷 쇼핑몰에는 자연산 송이가 170만 원 이상에 판매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소나무 인공 조림한 곳에 송이가 난 것을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라며 “소나무를 새로 심는 것은 물론 소나무를 키우기 위해 작은 활엽수 등을 베어버리는 조림 정책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또한, 또 다른 전문가는 산림 복구에 소나무가 사용되는 데에는 묘목 업자와 지자체 등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소나무는 놔둬도 잘 자라니까 키우기가 좋다”라면서도 “결국엔 소나무가 크게 자라 불나서 타면 또 묘목을 팔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부분의 산림 전문가는 그럼에도 소나무 등 침엽수 비중을 줄이고 화재에 강한 활엽수 중심의 조림 사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관계자는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은 토양이 건조하고 바닷바람이 많아서 능선 부위는 소나무 외에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한반도의 기후 변화로 생태가 바뀌면서 서쪽은 이미 활엽수로 많이 대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나무는 활엽수와 경쟁이 되지 않아 이런 추세라면 미래에는 한반도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뉴스] 랭킹 뉴스

  • "여성가족부 통폐합하겠다" 정부 조직 개편 공약 발표한 이준석
  • 文 기소에 발끈한 조국혁신당, 이런 반응 보였다
  • “그건 내가 할 말인데요" 홍준표 한마디에 안철수가 보인 ‘예상 밖 대응’
  • “이재명 당선” 판돈만 454억 원이라는 대선 베팅사이트 상황
  •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된 문재인, 또 악재 등장
  • “저분이 저런 분이었나”…홍준표·한동훈 갑자기 훈훈해진 이유

추천 뉴스

  • 1
    "테일러 스위프트 제쳤다" 30세에 자산 2조 달성한 여자, 누구일까

    기획특집 

  • 2
    "서울도 아닌데 4억 뛰었다?" 이 동네가 뜨는 뜻밖의 이유

    기획특집 

  • 3
    “여성 찌르고도…” 미아역 칼부림 남성, 범행 뒤 행동에 시민들 경악

    사건사고 

  • 4
    “4년 만에 95억 올랐다” 이 동네 집값, 대체 왜 이러나 봤더니

    기획특집 

  • 5
    유상철 감독 제자에서 월드 클래스 축구선수 된 소년 근황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소송 중에..." 삼성이 매달 구글에게 뒷 돈 받았던 이유

    사건사고 

  • 2
    "안 받을래요" 셰프들이 '미쉐린 스타' 거부하는 이유

    기획특집 

  • 3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국제 

  • 4
    "강남 아니야" 올해 1분기 아파트 가격 1등 여기였다

    오피니언 

  • 5
    국회의원 이철규 며느리도 '대마초 양성 반응' 나왔다

    사건사고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