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용산 대통령실에서 청와대로 복귀하는 데 필요한 예비비로 259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용산 이전 당시 소요된 예비비 378억 원 대비 69% 수준이다.
10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국가 시스템 정상화를 위해 청와대 복귀 예비비 안건을 국무회의에 상정·의결했고 관련 예산은 총 259억 원”이라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 정부 때보다 119억 원을 절감했다”라며 예산의 ‘효율성’을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사업자를 선정하고 대통령실 사무공간은 국민과의 소통이 강화될 수 있도록 배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귀 작업은 업무 시간 외 주말과 휴일을 활용해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청와대 개방 이후 관람 운영과의 충돌 문제를 의식한 듯 강 대변인은 “더 나은 관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람 운영도 일부 조정할 예정”이라며 “변경된 일정은 청와대 재단 ‘우리 집’과 공식 인스타그램에 게시된다”라고 밝혔다.

복귀 완료 시점과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순차적으로 말하겠다”라며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세종 이전 공약과의 병행 여부에 대해서도 “현재로선 청와대 복귀만 논의되고 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추가 예산 가능성에 대해선 “지금은 필요한 최소 수준이 259억 원으로 판단된다”라며 “추가 소요가 있을 경우 이후 단계에서 검토할 수 있다”라고 여지를 남겼다.
이번 발표는 용산 시대를 열었던 윤석열 정부와는 반대 방향의 첫 공식 행보로, 향후 정권 성격과 상징 정치의 차별화를 부각시키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