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패배 후 지도부 공백 상태에 빠진 국민의힘이 “최악의 위기”에 직면했다. 당내에선 전당대회 개최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복귀 여부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권성동 원내대표와 비대위원들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김용태 비대위원장 임기마저 이달 말 종료된다. 김 위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9월 초 전당대회를 열겠다”라며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당헌상 전국위 의결로 최대 6개월 연장도 가능하다.
한 전 대표는 대선 경선에서 43.47%를 얻으며 존재감을 드러냈고 이후 ‘당원 배가 운동’을 통해 지지층 조직화에 나서왔다. 전당대회가 성사될 경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의 ‘리턴 매치’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한 전 대표를 견제하는 일부 친윤계는 새로 유입된 지지자들이 대의원 자격을 갖기 전에 전당대회를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책임 당원 기준에는 3개월 이상 당비 납부 및 연 1회 이상 행사 참여가 포함된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 전 대표에게 정치적 휴식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문수 전 장관이 고요한 시기를 거친 뒤 재부상한 사례처럼 이미지 소비를 줄이는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전 대표가 재보선 출마로 국회 입성을 시도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재명 대통령 인선에 따른 공석이 예상되는 인천 계양을 등이 대상이다. 계양을에서 승리한다면 차기 주자로서 체급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민주당 강세 지역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