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선거를 지원하는 임시 인력이 50만 명 규모로 투입된다. 정치권이 연일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선거 하루를 특별한 기회로 삼으려는 이들이 몰리며 선거 아르바이트 열풍이 거세다.
이번 대선에서 투개표 업무를 맡을 사무원은 32만 6,000명, 개표 사무원은 7만 7,000명, 참관인은 16만~18만 명으로 추산된다. 선거 당일 전국의 개표소 250여 곳과 투표소에는 공무원과 일반인이 함께 일하며 선거를 관리한다. 지방직 공무원이 절반, 나머지는 공기업·은행 직원, 각 정당과 단체 추천 인력, 일반 지원자로 채워진다.
임시 인력에 몰리는 이유 중 하나는 높아진 수당이다. 사무원 수당은 6만 원에서 9만 원으로, 참관인은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인상됐고 식대도 9,000원까지 오른다. 특히 개표 사무원은 하루 최대 23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일당은 현금이나 계좌로 지급되며 세금 공제는 없다. 새벽까지 일한 개표 인력은 여비도 추가로 받는다.

선거 아르바이트는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기회만은 아니다. 한 번쯤은 참여해 보고 싶은 ‘민주주의 현장 1열 관람’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일각에서는 개표 현장을 경험하며 느낀 감동과 성취감을 전하기도 한다. 경쟁은 치열하다. 지난 5~9일 진행된 개표 참관인 모집에는 신청 시작과 동시에 접수가 마감되며 ‘아파트 청약급’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하지만 선거 현장의 고단함과 긴 대기 시간은 감내해야 한다. 일부 개표소에서는 음모론을 주장하거나 소란을 피우는 사례도 발생해 현장 질서를 해치는 문제도 나타났다.
이번 대선 임시 인건비만 약 800억 원 수준이다. 선거 당일 투·개표 업무와 참관에 나서는 이들은 피로와 긴장 속에서도 각자의 자리에서 민주주의의 한 장면을 지켜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