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김건희 여사에 대해 재소환 통보를 하고 이번 주 내 출석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선 이후 출석하겠다는 김 여사의 기존 입장을 고려할 때 선거 이후에나 소환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을 뒤엎는 검찰의 강경한 행보다.
30일 헤럴드경제 보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은 지난주 김 여사 측에 이번 주 내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을 것을 통보했다. 앞서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과 조상원 4차장검사가 사의를 밝히며 김 여사 조사가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수사팀은 중앙지검장 사의와 관계없이 김 여사에 대한 소환조사를 강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이미 명태균 의혹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 대면조사를 완료하는 등 김 여사가 출석하는 대로 조사할 준비를 마친 상태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서울 고검)과 샤넬백 수수 의혹(서울남부지검)도 김 여사 대면 조사 전 ‘빌드업’ 단계라는 점을 고려해 검찰은 사건의 방대한 분량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김 여사는 지난 14일 첫 소환 통보에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라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지만, 검찰은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대선 후보 본인이 아닌 이상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불출석 사유로 인정받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김 여사 측은 “언론 보도 자체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게 민폐”라며 대선 이후 출석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검찰은 김 여사가 대선 이후에도 조사에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청구를 검토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피의자가 세 차례 이상 출석 통보에 불응하면 체포영장을 청구할 수 있으며 검찰은 구두 통보를 포함해 이미 두 차례 이상 출석을 요청한 상태다.
김 여사는 2022년 대선 과정에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에게 여론조사 결과를 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경남 창원 의창구 공천에 개입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또한, 2023년 4월 총선 당시 김상민 전 검사(현 국정원 법률특보)를 창원 의창 지역구에 출마시키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있다.
검찰은 대선 이후 김 여사가 계속 출석을 거부할 경우 강제수사에 돌입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