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올해 초, 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증한 가운데 가족 회삿돈을 동원한 ‘부모 찬스’ 의심 사례가 다수 적발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2월 강남권 등지에서 이뤄진 아파트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가족 간 자금 이동을 통한 편법 거래 정황이 드러난 사례가 108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A 씨는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를 45억 원에 매입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가족 찬스’를 활용했다. 부친, 모친, 배우자가 각각 이사로 이름을 올린 세 개 법인에서 총 7억 원을 빌린 뒤, 이를 자금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해당 금액에 대한 회계처리가 이뤄지지 않아 국토교통부는 법인 자금 유용 가능성을 제기하며 국세청에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

또 다른 사례로는, 강동구의 24억 원대 아파트를 사면서 13억 원 이상을 어머니로부터 조달받은 편법 증여 의심 거래가 있었다. 자기 자금 8,000만 원도 자금 출처 증빙 없이 거래가 이뤄졌다. 서초구에선 사업자금 명목의 대출로 고가 아파트를 구매한 뒤 용도 불일치로 금융당국 통보가 예정된 사례도 있었다.
노원구와 동작구에서는 부모나 조모 등 가족 소유 주택을 매입하면서 동시에 전세 계약을 체결한 방식의 편법 증여 의심 사례도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번에 확인된 위법 의심 거래는 국세청, 금융위원회, 행정안전부,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고, 경찰청에는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