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총파업을 유보하면서 출근길 교통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창원과 부산 시내버스 노조는 협상 결렬로 28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해 지역별 대중교통 차질이 우려된다.
서울 버스노조는 28일 새벽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 결렬 후 용산 노조 사무실에서 총회를 열어 파업 여부를 총투표로 결정했다. 63명의 지부위원장 중 60명이 참여해 49명이 ‘파업 유보’에 찬성했다. 노조는 “파업을 해도 서울시와 사측의 입장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확신이 들어 무의미한 파업이 될 것 같았다”라며 “소송과 고용노동부 진정을 통한 권리구제 확인 후 사측과 서울시가 더 이상 억지 주장을 못 하게 한 후 교섭을 재개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서울 버스 노사는 전날 오후 3시께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교섭을 이어갔으나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편을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결국 28일 오전 0시 10분께 협상 결렬을 선언하며 노조는 첫차부터 파업 돌입을 예고했지만, 약 4시간 만에 입장을 번복했다.

서울시는 비상 수송 대책을 철회하고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 실장은 “파업 유보 결정으로 인해 출근길 시민 혼란이 최소화된 점에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라며 “혹시 있을지 모를 노조의 돌발적인 행동에 대비해 시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반면, 창원과 부산 시내버스 노조는 협상이 결렬되며 예고한 대로 이날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울산 버스노조는 파업을 유보해 운행이 정상화됐다.
서울 버스조합은 “노조의 파업 유보 결정을 존중하며 조속히 임단협 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라며 “임금 체계 개편을 통해 운수 종사자분들이 하루빨리 총액 대비 임금 인상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다만, 부산 시내버스 노사 임금협상이 28일 오후 1시경 타결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이날 첫 차부터 중단됐던 버스 운행은 오후 2시를 전 후해 정상 운행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