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세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리더직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19~36세 직장인 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30 직장인의 리더 인식 기획조사 2025’에 따르면, 리더 역할을 맡지 않더라도 불안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47.3%로, 불안하다는 응답(22.1%)의 두 배를 넘었다.
이는 직장 내에서 승진이나 진급을 꺼리는 ‘언보싱(Unbossing)’, ‘리더 포비아’ 등의 현상이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소는 “2030 직장인들이 리더 역할의 필요성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간관리직의 주요 역할로는 ‘소통 및 팀워크 강화'(47.4%)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내·외부 협력과 조율'(37.3%), ‘업무 조정 및 분배'(36.9%) 순이었다.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 직장인이 목표 설정(36.3%)과 전략적 의사결정(28.6%)을, 공기업 직장인은 조직문화 조성(40.4%)과 성과 관리(25.8%)를 리더의 역할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중견기업은 소통 강화와 함께 구성원 동기 부여(33.9%)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중간관리직을 맡고 싶다는 응답은 36.7%, 맡고 싶지 않다는 응답은 32.5%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리더를 맡고 싶은 이유로는 급여·복지 혜택(41.4%)과 조직 내 인정(33.3%)이, 맡고 싶지 않은 이유로는 성과 책임 부담(42.8%), 업무량 증가(41.6%), 개인 성향과의 부조화(33.7%)가 꼽혔다.
대기업 직장인은 ‘실제 업무량이 많아질 것 같아서'(47.1%), 중견·중소기업은 ‘성과 책임이 부담돼서'(48.1%, 42.8%), 공기업은 ‘팀원 성장 책임이 부담돼서'(48.6%) 리더직을 꺼리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대기업에서는 실무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응답(26.5%), 공기업은 대외적 이미지 부담이 있다는 응답(20.0%)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