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 중 하나인 ‘지역화폐’ 정책을 둘러싸고 대전광역시에서 시장과 중구청장이 정면충돌했다.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중구가 자체 발행을 추진하자 국민의힘 소속 이장우 대전시장이 부정적 입장을 드러내며 신중론을 강조하면서 설전이 일었다.
이장우 시장은 지난 2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중구의 지역화폐 발행 계획을 보고받은 뒤 “재정이 여의치 않을 텐데 감당할 수 있겠느냐”라고 입장을 전했다. 이어 그는 “과거 모임에서 경제력이 있는 전문직 종사자들이 가족 모두가 지역화폐로 10% 할인을 받는다고 해서 도덕적 해이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라고도 언급했다.
실제로 이 시장은 취임 이후 대전사랑상품권 발행 규모와 캐시백 혜택을 대폭 축소했으며 올해는 정부 예산 미편성을 이유로 관련 시비 자체를 편성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김연중 중구청장은 SNS를 통해 “이 시장의 발언은 내란 정권인 윤석열 정권이 지역화폐 예산을 삭감하며 내놓은 논리를 그대로 반복하는 수준”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어려운 지역경제에 비춰 대전시정을 책임진 시민의 공복으로서 직무 유기라 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대전시장을 지적했다. 김 청장은 인천 등 타 지역의 국민의힘 소속 자치단체장이 오히려 지역화폐 예산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중구 지역화폐는 죽어가는 원도심을 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이 시장의 발언에 대해 “자치구의 노력에 도움은 주지 못할망정 깎아내리는 행위는 목민관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구는 대전 자치구 중 유일하게 ‘중구통’이라는 이름의 지역화폐를 오는 10일 발행할 예정이다. 첫 달엔 10% 캐시백을, 이후엔 7%를 지급하며 총 1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역화폐 활성화를 대선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며 국고 지원 확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이 이뤄질 경우 대전시의 정책 변화 가능성도 주목된다. 하지만, 이 시장은 “정부 방침대로 확대되면 시비로 수천억이 소요될 수 있다”라며 “세수 감소 상황에서 주요 현안이 올스톱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선을 그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