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화폰(보안 전화) 삭제를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 한국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어 군사령관들의 비화폰 관련 조치를 묻고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12·3 계엄과 관련된 주요 증거의 삭제 배후에 윤 전 대통령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1일 한국일보 취재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단장 백동흠 안보수사국장)은 지난달 30일 김성훈 차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김 차장 측은 비화폰과 업무 폰, 개인론의 통화 내역을 제시하며 추궁했다. 김 차장은 지난해 12월 7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비화폰 보안 조치를 지시한 사실을 인정했으며 이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여부를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김 차장은 12월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두 차례 전화를 받았다. 첫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은 “네가 통신을 잘 안다며. 서버 관련 규정이 어떻게 되나. 서버 삭제는 얼마 만에 한 번씩 되냐?”라고 물었고 김 차장은 “확인해 보겠다”라고 말했다.
이어진 두 번째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은 “수사받는 사람들 비화폰을 그렇게 놔둬도 되는 건가. 조치해야지? 그래서 비화폰이지?”라고 말했다는 것이 김 차장의 진술이다. 김 차장은 이 전화를 받은 직후 경호처 통신 담당 실무진에게 비화폰 보안 조치를 지시했다. 실무진은 “누구 지시냐?”라고 물었고 김 차장은 “대통령 지시”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경호처 실무진은 “증거인멸에 해당해 로그아웃할 수 없다”라며 이를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차장은 이후에도 간부회의 등에서 “보안 조치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김 차장이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사실을 숨기기 위해 실무진과의 통화 내역을 삭제한 정황을 포착했다. 김 차장은 그간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함구해 왔으나 최근 경찰이 통화 내역과 관련 증거를 확보하자 이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단순 문의였는지, 증거인멸을 위한 의도였는지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경찰은 김 차장 등에 대해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혐의로 신청한 사전구속영장에 윤 전 대통령을 ‘공범’으로 언급한 바 있다. 한편, 지난해 12월 6일 윤 전 대통령,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이 원격 로그아웃된 흔적도 확인됐다. 이 날짜는 윤 전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지시했다는 홍 전 차장의 폭로가 나온 날과 일치한다. 다만 경찰은 이 삭제 지시가 누구에게서 나왔는지 특정하지 못했고 성명불상자를 증거인멸 혐의로 입건했다. 김 차장은 12월 6일의 원격 로그아웃은 자신과 무관하며, “지시한 적이 없고 이미 지워진 뒤에 보고받았다”라고 선을 그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