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창원 시내버스 파업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극에 달하고 있다. 30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 28일부터 시작된 파업으로 인해 창원 시내버스 669대 중 95%에 달하는 차량이 멈춰 섰다.
시는 비상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170대, 관용 버스 10대, 임차 택시 330대를 투입했지만, 파업 장기화로 대체 수단 확보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비상 수송 대책의 운행률은 첫날 42%에서 이날 33% 수준으로 하락했다. 전세버스는 105대로 줄었고 행락철 전세버스 수요 급증으로 추가 투입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시민들은 “배차 간격이 평소보다 2~3배 이상 늘어나 1시간 넘게 기다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비상수송버스는 주요 정착지만 다녀서 의미가 없다”, “택시비라도 돌려주든 파업을 풀든 대책을 마련해 달라”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창원시 홈페이지 ‘시민의 소리’ 게시판과 안내콜센터에는 매일 3,000건이 넘는 문의와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이날 간부회의에서 “창원은 버스 말고는 대중교통이 하나도 없는데 파업이 이뤄지면 전부 차를 끌고 나가야 한다”라며 “학생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대책 마련과 함께 시내버스 시스템 전반을 점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파업 종료 시점이 불투명한 가운데 시민들의 불편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