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의과대학에서 수업에 불참한 학생 중 8,305명이 유급, 46명이 제적 대상자로 통보됐다. 교육부가 9일 공식 발표한 내용으로, 의대생 집단 수업 거부 사태 이후 사실상 첫 대규모 행정 조치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에서 재학 중인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예정이며, 0.2%인 46명은 제적 통보 대상이다. 이번 결과는 교육부가 지난 7일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보고받은 내용을 취합해 정리한 것이다.
특히 유급·제적 대상자는 대학 학칙에 따라 소명 절차를 거친 뒤 확정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규정에 따라 원칙적으로 처리할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개입보다는 대학 자율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예과 과정의 경우 유급 제도가 없는 탓에, 2025학년도 1학기 성적에 따라 유사한 행정 조치가 예고돼 있다. 예과생 중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이며, 등록만 하고 수강 신청을 사실상 포기한 인원도 1,389명(7.1%)에 달했다.

반면, 이번 학기 최대한 수업에 복귀할 수 있는 학생은 전체의 34.4%인 6,708명으로 추산됐다. 이 중 예과 과정 학생 3,650명은 2학기 수업 참여가 가능하며, 학점 보충 등을 통해 정상 진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 이후 복귀한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대학과 협력해 교육 환경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의대 증원 정책을 둘러싼 파장이 단순한 정치 논쟁을 넘어 학사 행정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