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한하율 기자 조회수  

디딤돌 대출 이용자 현황
소득 4,000만 원 이하 줄어
반면 고소득층 이용 증가해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출처: 뉴스1

1가구 실수요자들에게 큰 혜택으로 꼽힌 주택 구입용 정책금융인 디딤돌 대출 이용자 가운데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대출자 비중이 2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반면 같은 기간 연 소득 6,000만 원 이상 대출자 비중은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이목이 쏠렸다. 일각에서는 저소득층이 누릴 정부 상품을 고소득자가 이용하여 자산 형성에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복기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받은 ‘디딤돌 대출 집행 실적 자료’에 따르면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가구의 대출 비중(금액 기준)이 지난 2022년에는 전체의 전반에 달하는 47.5% 수준이었으나, 지난해(2023년) 기준 36%로 줄어들었다.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출처: 뉴스1

이어 올해 9월까지 26.1% 수준으로 대폭 감소하면서 저소득층이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수치로 따지면 2년 만에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가구의 대출 비중이 20% 수준 감소한 셈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은 중산층 이상의 대출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 연 소득 6,000만~8,500만 원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14.4%에서 31.4%로 많이 증가했다. 이어 연 소득 8,500만 원 이상 가구도 올해 집행된 대출의 8.1%를 차지했으며, 연 소득 1억 원을 넘어서는 고소득층 가구 비중도 4.1%에 달했다.

고소득 가구의 경우 과거에는 소득 기준에 걸려 수혜 대상이 아니었으나, 올해 초 새로 도입된 ‘신생아 특례대출’ 덕택에 소득이 1억 원을 웃도는 고소득 가구도 디딤돌 대출의 수혜를 누릴 수 있게 됐다.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출처: 뉴스1

이렇게 저소득층 대비 중산층 및 고소득층 대출 비중이 상당히 증가한 것은 정부가 소득 기준을 낮춰 대출 대상을 넓혔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실제 지난해 10월 정부는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소득 요건을 부부 합산 7,000만 원 이하에서 1,500만 원 인상하여 8,500만 원 이하로 완화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는 2년 이내 출산한 부부에 한해 1억 3,000만 원까지 연 소득 제한 한도를 늘리면서 수혜자를 확대했다. 금융 업계에 따르면 기준이 완화되기 전 대출 조건은 연 소득 기준 6,000만 원 이하로 알려졌다.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출처: 뉴스1

대출 이용자 범위가 확대되면서 지난해 디딤돌 대출과 전세자금 대출인 버팀목 대출이 전년 대비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로부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디딤돌 대출 총액은 13조 8,834억 원으로 전년인 2022년(3조 7,205억 원) 대비 3.7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버팀목 대출은 12조 3,288억 원에서 26조 5,756억 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디딤돌 대출 이용자 살펴보니...돈 많은 사람이 더 빌렸다
출처: 뉴스1

지난해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대출이 전년 대비 수요가 늘어난 이유로 집값 상승 국면에서 실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확대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에 대해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지난해 집값 상승세 속에서 ‘나만 안 사면 안 된다’는 생각이 커지면서 매수 심리가 상승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디딤돌 대출 말고도 특례보금자리론과 같은 정책대출의 여파로 저가 주택 구입 수요도 함께 견인됐다고 본다”라고 분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서민 정책 대출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액수 증가 폭이 늘어난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김효선 NH농협 부동산수석위원은 “대출액의 급증은 주택 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서민 주거 안정이라는 큰 목표를 흔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이 필요하다고 본다”라고 했다.

[뉴스] 랭킹 뉴스

  • "환각에 빠져"... 대마 흡입하고 자진 신고했다, 무슨 일?
  • "李 장남 결혼, 비공개라며!“ 나경원, 이재명 향해 일침
  • "내 뒤에 트럼프 있어" 주장한 전한길, 싹 다 잡혔다
  • “文 정부 넘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마포·양천 집값 상황
  • "한동훈, 전당대회 큰 도움 안 돼“ 보수서 등장한 쓴소리
  • '죽어야 산다'는 각오로 임해라...안철수 차기 원내대표에 남긴 한마디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평점 9.3점…한국 포함 81개국에서 1위 흥행중인 ‘2,000억원 대작 영화’
    평점 9.3점…한국 포함 81개국에서 1위 흥행중인 ‘2,000억원 대작 영화’
  •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투입한 ‘대작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투입한 ‘대작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 “2천만 원대에 이정도라고?”.. 드디어 출시된 ‘이 차’에 난리났죠
    “2천만 원대에 이정도라고?”.. 드디어 출시된 ‘이 차’에 난리났죠
  • “마니아들 벌써 신났다” ‘600마력’ 오프로드 전기차 출시 임박
    “마니아들 벌써 신났다” ‘600마력’ 오프로드 전기차 출시 임박
  • 여름 이열치열 보양식의 대표주자! 삼계탕 맛집 5
    여름 이열치열 보양식의 대표주자! 삼계탕 맛집 5
  •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평점 9.3점…한국 포함 81개국에서 1위 흥행중인 ‘2,000억원 대작 영화’
    평점 9.3점…한국 포함 81개국에서 1위 흥행중인 ‘2,000억원 대작 영화’
  •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투입한 ‘대작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투입한 ‘대작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 “2천만 원대에 이정도라고?”.. 드디어 출시된 ‘이 차’에 난리났죠
    “2천만 원대에 이정도라고?”.. 드디어 출시된 ‘이 차’에 난리났죠
  • “마니아들 벌써 신났다” ‘600마력’ 오프로드 전기차 출시 임박
    “마니아들 벌써 신났다” ‘600마력’ 오프로드 전기차 출시 임박
  • 여름 이열치열 보양식의 대표주자! 삼계탕 맛집 5
    여름 이열치열 보양식의 대표주자! 삼계탕 맛집 5
  •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추천 뉴스

  • 1
    1년 전 재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세기의 이혼소송, 지금은?

    오피니언 

  • 2
    “살리러 왔는데…” 119 구급차가 부른 또 다른 비극

    사건사고 

  • 3
    '공휴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추진에 급락한 종목, 이거였다

    기획특집 

  • 4
    “굿 한 번에 1,000만 원?”…20대가 굿판에 뛰어든 진짜 이유

    기획특집 

  • 5
    방글라데시의 ‘국민 기업’으로 불리는 대기업, 삼성 아니었다

    오피니언 

지금 뜨는 뉴스

  • 1
    “비흡연자인데 제가 폐암이라고요?” 문제는 ‘이것'이었다

    기획특집 

  • 2
    도박 중독자가 열었던 작은 할인점,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다

    기획특집 

  • 3
    ‘아파트의 황제’로 불렸던 남자가 세운 기업...이렇게 몰락했죠

    오피니언 

  • 4
    “부모 세대는 연금으로 수혜 받는데...자식 세대는 누가 책임져요?”

    기획특집 

  • 5
    “트럼프와 주먹다짐?”…머스크 멍 자국, 전문가 분석은 전혀 달랐다

    국제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