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높은 연봉보다 공정성과 조직문화 등을 우선시하는 MZ세대 직장인의 인식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잡코리아 콘텐츠LAB이 20~40대 직장인 1,2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4.5%는 ‘부도덕한 관리자나 임원이 있는 회사’는 연봉이 높더라도 취업이나 이직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비율은 20대(36.4%)와 30대(34.5%)에서 높게 나타나, 젊은 세대일수록 윤리성과 공정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이 언급된 기피 요소는 ‘자신과 맞지 않는 회사의 운영 방식 및 가치관’(33.9%)이었다. 이는 단순 생계유지가 아니라 조직이 지향하는 철학과 일하는 방식의 조화 여부가 주요 선택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공정하지 않은 보상 체계(30.6%), 불명확한 업무 지시(25.6%), 침체한 사내 분위기(15.4%) 등이 회피 요인으로 지목됐다. 단순한 처우보다 직무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근무 환경과 문화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다.

직장 내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로는 전 세대 공통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50.3%로 1순위에 올랐다. 특히 2030세대에서는 절반 이상이 워라밸을 최우선 가치로 답해, 일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치관이 반영됐다.
그 외에도 ‘인정과 보상’(44.6%), ‘성장 가능성’(35.3%)이 주요 가치로 꼽혔으며, 나이에 따라 보상과 성장에 대한 기대치가 달랐다. 40대 이상은 보상을, 20~30대는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업무 몰입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는 ‘명확한 목적과 방향 제시’(49.8%)와 ‘역량에 맞는 업무 배정’(48.2%)이 꼽혔다. 성과에 대한 피드백(38.2%)도 중요한 동기 요소로 나타났다. 조직이 업무 목적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구성원 개개인의 특성과 능력을 고려한 역할을 부여할 때 몰입도가 높아진다는 해석이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조건 이상의 요소가 구직자의 선택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기업도 조직문화 개선과 가치 정립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