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야 후보들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확대 공약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수도권은 물론, 지방 대도시까지 광역급행철도망을 확충해 지역 간 연결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선거철마다 반복되는 단골 공약이라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대선 후보 모두 GTX 노선을 확장하는 방안을 공약에 담고 있다. 수도권 GTX-A·B·C 사업의 차질 없는 진행과 함께 연장 노선, D·E·F 등 신규 노선 추진, 나아가 지방 권역에도 광역급행철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수도권 기존 노선과 연장선 외에도 GTX플러스 노선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수도권을 넘어 충청, 영남, 호남까지 전국적으로 GTX를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공약 이행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윤석열 정부 시절에도 GTX 연장 및 신설 노선 개통 목표를 2035년으로 제시했으나, 현실성이 낮다는 평가가 있었다. 실제로 GTX-B·C는 착공식 이후에도 공사비 증가와 사업성 악화로 인해 실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GTX-A 노선도 2028년 완전 개통을 위한 핵심 공정 중 하나인 영동대로 복합개발 입찰이 여섯 차례 유찰된 끝에 간신히 계약이 성사돼 개통 지연 우려가 컸다. 또 전국 확대에 필요한 천문학적 사업비와 낮은 수요로 인한 사업성 부족도 문제로 지적된다. 교통업계 전문가들은 장래 인구 감소 등을 고려할 때 일부 지방 노선은 수익성 확보가 어렵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는 “현재 민간사업자들이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재정사업으로 전환하더라도 예산 확보가 쉽지 않다”며 “기존 계획의 타당성부터 면밀히 검토해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