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문동수 기자 조회수  

간호법 제정 공포
의협 부회장 비난 나서
“그럴 거면 의대를 갔어야”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출처: 박용언 부회장 페이스북 갈무리

20일 간호법 제정안이 공포된 가운데 박용언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을 통해 간호사를 겨냥하여 “그만 나대세요. 그럴 거면 의대를 가셨어야죠”라는 글을 올려 이목이 쏠렸다.

이날 박용언 부회장은 ‘간호협회, 간호법 제정안 공포 환영’이라는 내용이 담긴 대한간호협회의 보도자료를 캡처하여 자기 페이스북에 공유했다. 그러면서 박용언 부회장은 “장기 말 주제에 플레이어인 줄 착각 오지시네요”라며 “주어 목적어 생략합니다. 건방진 것들”이란 글을 남겼다.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출처: 박용언 부회장 페이스북 갈무리

이를 본 네티즌의 반응은 뜨거웠다. 의사 집단을 옹호한 네티즌이 있기도 했으며, 지적에 나서는 네티즌도 있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해당 글에 한 네티즌은 “자기네 직역 지킨다고 환자 다 내버리면서, 의사 집단의 집단 이기주의는 우리나라의 큰 적폐다”라는 댓글을 달자, 박용언 부회장은 “집에서 맞고 사는 아내가 도저히 못 참고 집을 뛰쳐나갔다고, 애들 버리고 뭐 하는 짓이냐고 하는 질책은 절대 옳지만은 않다”라며 반응했다.

이후 박용언 부회장은 자신이 작성한 글이 기사화하자 페이스북을 통해 “주어 목적어 없는 존재감 없는 제 글에 관심 가져주시고. 송구합니다”라고 밝혔다.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출처: 뉴스1

박용언 부회장은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는 내용의 간호법 공포에 관해 대한간호협회가 환영 입장을 내자, 강한 표현으로 이를 비난한 것이다.

앞서 대한간호협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무회의에서 간호법이 의결된 데 이어 오늘 공포됨으로써 국민의 보편적 건강권을 비롯해 사회적 돌봄의 공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라고 했다. 이어 대한간호협회는 “앞으로 대한민국은 간호법을 통해 보건 의료의 상식과 공정을 지켜낼 것이다”라고 성명했다.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출처: 뉴스1

또한 대한간호협회는 성명을 통해 “간호법이 제정되어 간호사가 해도 되는 직무와 하지 말아야 할 직무가 명확해져, 국민 모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생겼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간호협회는 “언제나 그래왔듯 전국 65만 간호인은 국민 곁에서,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앞장설 것임을 국민 여러분께 약속한다”라고 강조했다.

간호법의 핵심은 의사의 수술 집도 등을 보조하면서, 의사 업무 일부를 담당하는 PA 간호사들의 역할을 명문화한 것이다. 특히 미국을 비롯해 영국 등에선 PA 간호사가 법에 규정되어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 관련 내용이 의료법에 근거 규정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장기 말 주제에..." 간호법 제정에 의협 부회장 지적 나섰다
출처: 뉴스1

이날 공포된 간호법 제정안은 공포일(9월 20일)로부터 9개월 이후인 오는 2025년 6월 21일부터 시행된다.

한편, 간호법은 앞서 21대 국회에서 야당 주도로 본회의를 통과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직역 갈등 확산을 우려하여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고, 이후 재의결에서 부결되면서 최종 폐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간호법 제정을 두고 “간호법안은 유관 직역 간의 과도한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라고 했다.

author-img
문동수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

300

댓글2

  • 인간백정같은 놈

  • 니나 저나 다 將棋판의 卒

[오피니언] 랭킹 뉴스

  • "발 디딜 틈 없다" 세계적 돌풍에 사람 몰려... 주민들 '함박웃음'
  • 박수홍 부부가 70억 주고 매수한 압구정 신현대...“이유 따로 있었죠”
  • “계엄 사태에도 올라간 사관학교 경쟁률”... 경찰대와 비교해 봤더니 ‘반전’
  • "외국인 노동자 고용하는 것보다"...채용 판 뒤바뀐 제조업 ‘무슨 일이?’
  • "집 앞에 이게 있다고...?" 무덤뷰로 알려진 아파트 근황 '반전'
  • "아버지와 다르다"...‘이재용'이 경호 없이 다니는 '현실' 이유

추천 뉴스

  • 1
    하루 다섯 시간만 근무해도 '억대 연봉' 보장된다는 이색 직업

    뉴스 

  • 2
    ”망한 거 아냐? “15년 넘게 흉물로 방치됐다는 국립대 캠퍼스의 현재자 모습

    기획특집 

  • 3
    “계엄 사태에도 올라간 사관학교 경쟁률”... 경찰대와 비교해 봤더니 ‘반전’

    오피니언 

  • 4
    다리 절뚝이면서도 ’우승 퀸‘자리 차지한 안세영...김택규는 ’죽상‘

    사건사고 

  • 5
    공군 장교 출신이라는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친누나, 누구?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美 의원들, 16년 만에 급여 인상에 ‘난리’...매년 한국은?

    사건사고 

  • 2
    "외국인 노동자 고용하는 것보다"...채용 판 뒤바뀐 제조업 ‘무슨 일이?’

    오피니언 

  • 3
    “붕괴 위험에도...” 연간 100만 명 찾는 관광지 옆에 있다는 흉물 아파트

    기획특집 

  • 4
    “무리한 사업 확장이 화근이었죠”...몰락한 대통령 사돈 그룹, 어디?

    사건사고 

  • 5
    "13만 명 상승한 취업자" 청년 현실은 달랐다, 대체 왜?

    사건사고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