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48억 투입했는데 손님이 없어요” 흉물로 전락한 ‘테마파크’의 위치

이시현 기자 조회수  

고성 ‘무릉도원 테마공원’
농어촌공사 2017년 공사 강행
건축 인허가 받지 않은 랜드마크

출처 : KBS
출처 : KBS

강원도 고성의 한적한 농촌 마을에 조성됐던 ‘무릉도원 테마파크’가 최근 고성의 흉물로 전락해 ‘혈세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농촌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사업이 방치되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겼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고성군은 낙후된 농촌 마을을 관광지로 만들겠다며 토성면 일대에서 개발사업을 추진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해당 현장이 10년 넘게 폐허로 방치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무릉도원 테마파크에 방문한 관광객에 따르면 풀이 무성한 숲속에 외딴 건물이 놓여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길목마다 놓인 조형물들이 대부분 망가진 것과 더불어 바닥에는 쓰레기와 건설자재가 나뒹구는 등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고성군이 지난 2008년부터 개발을 시작한 무릉도원 권역이 1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방치된 것이다.

출처 : G1 방송
출처 : G1 방송

고성군은 사업 초기 1단계 사업으로 16m짜리 조형물과 도자기 체험장 등을 짓고, 인근에 곤충 도서관과 식물원, 숲 체험장 등을 조성하는 2단계 사업을 통해 일대를 관광단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다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일부 토지 매입이 빠지면서 인허가 문제가 불거졌다. 이에 지난 2016년 해당 사업은 완전히 중단됐다. 특히 2016년에 진행됐던 2단계 사업 요소인 잠자리 식물원과 풍뎅이 도서관을 만드는데 1억 7,300만 원, 보강토옹벽·전석쌓기 등 부지 조성에 8,500만 원, 이야기 조형물 8개를 만드는데 국비 3억 100만 원과 군비 1억 2,900만 원 등 총 4억 3,000만 원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사업 중단 이후 시설이 방치되면서 쓰레기로 인한 악취가 나는 등 인근 마을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한 마을 주민은 “사업부지 선정부터 잘못된 것이 많아 세금만 낭비됐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출처 : 고성군
출처 : 고성군

실제로 해당 시설물은 고성군이 한국농어촌공사 영북지사에 위탁(발주)해 완공 후 군에서 관리하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테마공원 부지 내 국유지(2필지)와 사유지(3필지) 매입이 완료되지 않은 사실이 건물이 들어선 뒤에 밝혀지면서 준공을 멈췄다.

이에 2단계 사업에 문제가 생기면서 1단계 사업 역시 영향을 받았다. 당초 1단계 사업은 테마공원에서 800m 떨어진 곳에 세워진 3층 규모 무릉도원권역활성화센터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지난 2012년 완공된 이 센터는 높이 16m ‘거대농부 상’ 형태로 ‘진격의 농부’로 불리며 관광 명소로 주목받았다. 당시 건물을 짓는데 14억 5,300만 원이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G1 방송
출처 : G1 방송

완공 후 무릉도원권역활성화센터는 카페 등으로 운영돼 오다 관광객 발길이 줄어 지난해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1·2단계 걸쳐 무릉도원권역에 쓰인 세금은 국비 38억 4,000만 원, 지방비 9억 6,000만 원 등 총 48억 원에 가까운 세금이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48억 원의 혈세를 투입한 테마파크가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고성군 관계자는 “무릉도원권역 농촌 마을 종합개발 사업 2단계를 진행하던 중 인허가 관련 착오가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라며 “농촌 공공 시설물 운영 활성화를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으로 권역 운영위원회와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해 활성화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고성군은 지난해 4월 위탁 시행자인 한국농어촌공사 영북지사에 무릉도원권역 농촌 마을 종합개발 사업 2단계 사업에 대한 투자사업비 4억 3,000만 원 전액 환수 통보를 진행했다.

출처 : G1 방송
출처 : G1 방송

한국농어촌공사 영북지사 관계자는 “당시 국유지 매입 등이 왜 안 됐는지 내부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철거나 보수에 관한 부분을 고성군과 상의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당시 이 사업 담당자들은 모두 퇴직한 상태”라고 해명했다.

더하여 사업부지 원상복구, 시설물 이전 등 후속 조치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더 많은 세금이 투자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설 관리 주체인 고성군은 해당 시설을 마을에 위탁할지, 유상임대로 전환할지, 운영 방법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어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고성군이 면밀히 사업성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세금만 낭비했다는 비판을 피해 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author-img
이시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사건사고] 랭킹 뉴스

  • "최다 기록" 공무원 해고에 실업수당 청구 건수만 무려 '깜짝'
  • "김수현 '그루밍 성범죄' 의혹 제기" 가세연 과거 수익 무려...
  • '휜스테이트·고속도로 붕괴‘...국내 4위 건설사의 수난, 이렇게 시작됐죠
  • "못 살겠다 진짜" 연봉 격차에 중소기업 근로자 한숨만 '푹'
  • ‘대기업’ 최초 사례라는 오명 쓴 한화오션...현재 상황 심각합니다
  •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추천 뉴스

  • 1
    창립 이래 최대 실적 달성한 현대무벡스...지난해 영업이익 493% 증가

    뉴스 

  • 2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지금은?

    국제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현재 상황은 이렇습니다
  • 3
    '유니클로’ 대항마로 불렸던 토종 브랜드...실적 살펴보니 ‘깜짝'

    뉴스 

  • 4
    “많은 비판 있었죠” 동네 빵집 하나로 시작한 사장님...인생 역전한 사연

    기획특집 

  • 5
    건물주 되기 싫다던 스타도 이렇게 부동산 해서 돈 법니다

    오피니언 

    건물주 되기 싫다던 스타도 이렇게 부동산 해서 돈 법니다

지금 뜨는 뉴스

  • 1
    “한국엔 돌아갈 이유 없다”…유턴기업 발목 잡는 규제 내용

    기획특집 

  • 2
    "12억짜리 아파트도 반토막"...'똘똘한 한 채' 열풍에 눈물짓는 도시들

    뉴스 

  • 3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국제 

  • 4
    "누가 이력서를 읽어?”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바로?

    오피니언 

  • 5
    "시험 응시자 수 8년 만에 최저” 줄폐업 이어지고 있다는 업계 현황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