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다는 업계

한하율 기자 조회수  

국내 껌 시장 규모 감소
2,800억 원→1,500억 원
캐릭터 마케팅으로 매출 상승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는 업계
출처: tvN ‘풍선껌’

롯데웰푸드(전 롯데제과)의 주력 상품으로 꼽혔던 ‘껌’ 시장이 과거의 명성 대비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2017년까지만 해도 약 2,800억 원 규모였던 국내 껌 시장은 지난 2022년 약 1,500억 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젤리 등 다른 식품 부문에서 판매를 뺏기면서 국내 껌 시장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판단했다. 최근 젤리의 경우 삼겹살 젤리, 육회 젤리 등 독특한 질감과 형태의 제품이 나오기도 했다.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는 업계
출처: 뉴스1

이는 젊은 세대 중심으로 구성된 ‘펀슈머’(재미를 추구하는 소비자)를 자극하여 껌의 지위를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 과자 회사 메이지는 2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제품인 ‘기시리슈’(XYLISH) 껌을 단종한 뒤 젤리로 바꿔 출시하기도 했다.

더하여 지난해(2023년) GS리테일에 따르면 편의점 젤리 판매 매출 비율은 껌의 4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시장에 세계적인 젤리 회사인 하리보가 ‘하리보 코리아’를 설립하는 등 외국기업이 국내 진격을 본격화하기도 했다.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는 업계
출처: 뉴스1

그 결과 국내 껌 시장은 지속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18년 2,831억 원이었던 국내 껌 시장 규모는 2020년 1,933억 원까지 감소했다. 심지어 2022년의 경우 1,589억 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다만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껌 시장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국내 껌 시장은 1,700억 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과거의 명성에 비해 다소 축소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여러 기업이 반격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롯데웰푸드의 경우 작년 1~3분기 누적 껌 매출액은 직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는 업계
출처: 롯데월푸드 제공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특히 젊은 층에 큰 선호도를 보인 풍선껌 ‘왓따’는 같은 기간 매출이 50% 늘어났다고 한다. 장거리 운전용으로 출시된 ‘졸음 번쩍 껌’은 매출이 60% 이상 불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껌 시장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롯데웰푸드는 ‘부활 레트로 껌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추진한 것으로 전해진다. 오랜 기간 국내 시장에서 판매한 ‘롯데껌’의 헤리티지(유산)를 최신 감성으로 재해석하여 과거 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를 공략한 것이다.

"롯데가 이걸로 컸는데..." 요즘 무너지고 있는 업계
출처: 롯데월푸드 제공

껌 시장이 활기를 이어가기 위해 롯데웰푸드는 귀여운 캐릭터 등을 이용한 활발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실제로 ‘왓따’ 제품에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산리오캐릭터즈’와의 협업을 통해 헬로키티, 포차코 등의 캐릭터의 모습을 담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 결과 지난해 1월 진행한 첫 협업을 계기로 왓따 풍선껌 매출은 대폭 상승했다.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왓따 풍선껌의 누적 판매액은 약 8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3% 급증한 것이다.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입주한 지가 언젠데“ 추가 분담금 1500만원 더 달라는 아파트
  • 이베이는 실패하고, 스타벅스와 맥도날드는 성공한 이유
  • "전체 1위" 첫방부터 시청률 13.6% 기록한 한국 드라마
  • "10억 넘게 투자했는데..." 폐허로 방치되고 있는 공원
  • "부동산 관망세인데..." 연일 최고가 경신 중인 지역, 어디일까?
  •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추천 뉴스

  • 1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2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 3
    "마음 편히 살겠다" MZ세대가 아파트 대신 선택한다는 주거 형태

    오피니언 

  • 4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사건사고 

  • 5
    OTT 시장 커지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PPL, 어떻게 달라졌을까?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팔아버린 외국인 투자자, '이 종목'은 쓸어 담았다

    기획특집 

  • 2
    “포스코·현산 정면으로 붙었다”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 대어’라는 지역

    오피니언 

  • 3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4
    “일 안 할래요..." 실업급여로 1억 받아간 사람 있었다

    사건사고 

  • 5
    1000만 원으로 시작해 대기업 만들어낸 한국 IT의 대부

    기획특집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