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제2의 도시라더니…” 경·공매 부동산 쏟아진 ‘이 도시’의 민낯

허승연 기자 조회수  

경·공매 1위 ‘부산’
오피스텔 위기
청년은 떠났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지난 4월, 전국에서 경매개시결정 또는 공매 공고 등기가 가장 많이 신청된 지역은 부산 연제구 연산동으로 나타났다. 총 170건이 등록돼, 서울 강서구 화곡동(152건)을 제치고 전국 법정동 가운데 가장 많은 경·공매 건수를 기록했다.

참고로 서울 강서구 화곡동은 깡통전세를 놓고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은 빌라 전세 사기가 드러났던 곳이다. 전세 사기가 수면 위로 드러난 2022년 이후 아직 임의경매가 계속 나오고 있다.

연산동에 이어 부산 남구 용호동(95건), 대연동(94건), 동래구 온천동(92건)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공매 부동산이 나온 5개 법정동 중 4곳이 부산에 위치한 셈이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공매는 국세징수법 또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압류 재산이나 압수 물품 중 처분이 어려운 물건을 매각하는 절차이며, 경매는 민사집행법에 따라 법원이 집행하는 부동산 매각이다. 경매 개시 결정이나 공매 공고가 나면 등기에 이를 반영하고 법원에 신고된다.

부산 연산동은 오피스텔, 원룸, 다세대·다가구 주택 밀집 지역으로, 최근 경기 악화로 인해 분양이 되지 않거나 공실이 늘어난 오피스텔 등이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매가 시작되거나 공매 공고나 난 연산동의 한 오피스텔 단지에서는 65호실이 한꺼번에 경매에 부쳐졌다. 이 오피스텔은 부산지하철 물만골역 인근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세입자를 모두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남부산농협의 채권 회수가 실패하면서 경매로 넘어갔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남구 용호동과 대연동, 동래구 온천동 등에서도 다세대 주택과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경·공매가 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부산 지역의 구조적 문제, 특히 인구 감소와 수요 부진이 자리하고 있다.

2016년 12월 부산의 주민등록 인구는 349만 8,529명으로 처음 350만 명 아래로 떨어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0년에는 340만 명 선이 무너졌고, 2023년에는 329만 명까지 줄었다. 초고령사회 기준인 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2023년 기준 23.0%로, 6대 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소멸 위험지수는 0.49로, 광역시 중 최저 수준이다. 이는 해당 지역이 장기적으로 소멸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주거 시설의 핵심 수요층인 청년층 인구가 줄고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미분양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부산 부동산 시장은 이러한 인구 구조 변화와 맞물려 미분양 증가, 거래 침체, 분양권 가격 하락 등의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비아파트 위주의 주거 상품이 밀집한 지역에서 타격이 두드러지며, 공급은 이어지지만,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경·공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지지옥션 이주현 선임연구원은 “경·공매 급증은 부산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며 “회복을 이끌 뚜렷한 호재가 없어 주택시장뿐만 아니라 상업시설 전반에도 침체가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직방 빅데이터랩 김은선 랩장도 “부산은 수요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공급이 계속되면서 미분양이 누적되고, 결국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한편, 부산 남구 용호동에 위치한 한 대형 아파트 단지는 과거 2021년 하반기 당시 7억 7,000만 원에 거래되었으나, 최근 4억 9,000만 원 수준까지 하락한 바 있다. KB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억 9,877만 원으로 2021년 9월 기록한 4억 1,682만 원 이후 3년 8개월 만에 다시 3억 원대로 후퇴했다. 같은 기간 서울의 부동산 시장은 상승 흐름을 이어가며 부산과의 가격 격차는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정쾌호 동의대 부동산대학원장은 “도시에서 인구와 소득이 증가하지 않으면 부동산 가격 상승은 어려운 구조”라며 “부산은 현재 두 지표 모두 부진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댓글1

300

댓글1

  • 이번 대선 지지율및 투표한거보니까, 부산도 이제 맛이 갔더만~, 이재명이한테 붙어서 발전시켜 달라고 해봐~.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비트코인 빨리 해야 해”…유재석 발언, 다시 조명받는 이유
  • “1억 4,700만 원 내라고요?” 李 정부 출범에 혼선 온 부동산 상황
  • 韓 기업이 중동에 세웠다는 ‘가짜 도시’의 실제 모습
  • '공휴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추진에 급락한 종목, 이거였다
  • “굿 한 번에 1,000만 원?”…20대가 굿판에 뛰어든 진짜 이유
  • “비흡연자인데 제가 폐암이라고요?” 문제는 ‘이것'이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 위기의 OTT를 ‘구했다’…신규 가입 견인 1위 하며 웨이브를 살린 한국 드라마
    위기의 OTT를 ‘구했다’…신규 가입 견인 1위 하며 웨이브를 살린 한국 드라마
  •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 한 번에 2,000km 간다.. 2,800만 원대 가성비 PHEV 세단 출시
    한 번에 2,000km 간다.. 2,800만 원대 가성비 PHEV 세단 출시
  • “출시 2달 만에 판매 1위” 국산 전기 세단, 무슨 차길래
    “출시 2달 만에 판매 1위” 국산 전기 세단, 무슨 차길래
  •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김밥 맛집 추천 5선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김밥 맛집 추천 5선
  • 정갈한 한상, 깊은 맛의 여운을 주는 한정식 맛집 BEST 5
    정갈한 한상, 깊은 맛의 여운을 주는 한정식 맛집 BEST 5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라면 2천원 보다 더 심각…한국 대표 서민 음식이 ‘2만원대’ 진입 눈앞
  • 위기의 OTT를 ‘구했다’…신규 가입 견인 1위 하며 웨이브를 살린 한국 드라마
    위기의 OTT를 ‘구했다’…신규 가입 견인 1위 하며 웨이브를 살린 한국 드라마
  •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제네시스 급 고급감에 깜짝!” 700km 달리는 프리미엄 전기차 출시
  •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중국 BYD, 60조원 빚더미…’ 전기차 시장 대규모 파산 위기감 고조!
  • 한 번에 2,000km 간다.. 2,800만 원대 가성비 PHEV 세단 출시
    한 번에 2,000km 간다.. 2,800만 원대 가성비 PHEV 세단 출시
  • “출시 2달 만에 판매 1위” 국산 전기 세단, 무슨 차길래
    “출시 2달 만에 판매 1위” 국산 전기 세단, 무슨 차길래
  •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김밥 맛집 추천 5선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김밥 맛집 추천 5선
  • 정갈한 한상, 깊은 맛의 여운을 주는 한정식 맛집 BEST 5
    정갈한 한상, 깊은 맛의 여운을 주는 한정식 맛집 BEST 5

추천 뉴스

  • 1
    “120억 사기 친 부부”…이 돈 내고 석방됐다고요?

    사건사고 

  • 2
    "세부 내역을"... 악재 터졌다는 전 금융감독원장

    뉴스 

  • 3
    결국 불발났다는 한미 정상회의... 日 이시바와 회의는?

    뉴스 

  • 4
    외교부가 여행주의보 발령했다는 나라, 어디냐면...

    뉴스 

  • 5
    "본격적으로"... 계란값 상승에 공정위, 칼 빼 들었다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김민석 '아빠 찬스' 논란에 민주당 의원, 이런 말 남겼다

    뉴스 

  • 2
    ‘셀프 사면’ 李 대통령에게 부탁한 이화영, 황당합니다

    뉴스 

  • 3
    "94억 원 초고가" 장영란이 매입했다는 아파트 어디냐면...

    뉴스 

  • 4
    "문형배, 극좌입니다" 시의회에서 격분한 국민의힘 의원

    뉴스 

  • 5
    ‘뇌물 혐의’ 문재인 재판 출석 안 하는 현실 이유

    뉴스 

공유하기

1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