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신한은행 희망퇴직
지난해 하나은행 퇴직금 약 4억
3억 원 이상의 희망 퇴직금 예상돼
올해 들어 하반기 국내 대기업 그룹의 인력 감축 움직임이 본격화된 가운데 대기업 20곳 중 최소 8개 그룹의 계열사들이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더하여 은행권도 NH농협은행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희망퇴직 절차에 들어갔다. 이에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고용 시장이 위축되면서 내수 침체가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을 시작으로 은행권에 또다시 희망퇴직 ‘칼바람’이 볼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은행들은 인원 구성 선순환과 조직 슬림화를 위해 매년 대규모 희망퇴직을 시행하는 추세로 대규모 희망퇴직이 예고돼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며, 대상자를 10년 이상 근속한 만 40~56세 직원이라 밝혔다. 이들은 최대 28개월의 임금의 특별퇴직금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만 56세에 해당하는 직원은 28개월 평균 임금을 받을 전망이다.
이어 일반 직원은 최대 20개월 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과 더불어 주요 은행들도 노사 협의에 따라 연말이나 내년 초에 희망퇴직을 시행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은 내년 초 희망퇴직 접수를 앞두고 노사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이에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인사 및 조직개편 시기에 맞춰 희망퇴직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이들 중 신한은행이 가장 먼저 희망퇴직 소식을 전하면서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13일 신한은행은 이날부터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신청 대상자가 30대 행원까지 확대되면서 대규모 인력 감축 움직임을 보인다. 신한은행 측은 이번 희망퇴직을 두고 “고연령·고연차 직원의 ‘제2의 삶’ 정착을 지원함과 동시에 인력 효율화를 통한 신규 채용 여력 확대를 위해 희망퇴직을 단행하기로 했다”라고 설명했다.
희망퇴직 대상은 부부장·부지점장(Ma) 이상 직원 중 근속 15년 이상·1966년(58세) 이후 출생 직원, 4급 이하 직원 중 근속 15년 이상·1972년(52세) 이전 출생 직원, 리테일서비스직 직원 중 근속 7.5년 이상·1986년(38세) 이전 출생 직원 등으로 확인됐다.
신청 기간은 오는 17일까지고 퇴직 일자는 내년 1월 2일이 될 전망이다. 특히 신한은행 측은 희망퇴직 신청자의 특별퇴직금으로 지난해와 같이 출생 연도에 따라 7∼31개월 치 임금이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의 특별퇴직금 수준이 전해지자, 은행권의 특별퇴직금 규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퇴직금 총액이 가장 높았던 은행은 하나은행으로 나타났다. 당시 하나은행의 퇴직금 규모는 약 4억 915만 원에 달했다. 앞서 지난 8월 339명의 희망퇴직자가 나왔던 하나은행은 올해 종전까지 최대 31개월 치를 주던 특별퇴직금을 최대 28개월 치로 낮춘 바 있다.
이어 농협은행도 지난 2022년 희망퇴직 대상자에게 최대 39개월의 임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는 28개월을 최대 수준으로 조정했다. 또한, 국민은행은 종전 23~35개월 치 특별퇴직금을 18~31개월 치로 하향 조정했다.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특별퇴직금 규모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순익을 경신하고 있는 기조로 보아 여전히 3억 원 이상의 희망 퇴직금을 챙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대 30개월에 가까운 특별퇴직금 외에도 은행에 따라 자녀 학자금과 재취업 지원금, 건강검진 비용, 상품권 등이 추가 지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연말이 다가오면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지급을 둘러싼 눈치 보기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업계에 따르면 3분기 5대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의 누적 순이익은 무려 12조 6,8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67%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 은행권이 서민들을 상대로 막대한 이자수익을 거두고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에 휩싸인 가운데 성과급 억제 기조를 유지해야 할 상황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노조는 이익을 기반으로 그에 걸맞은 성과급을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은행들은 금융당국과 노조의 눈치를 모두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돈 잔치’ 질타 이후 성과급을 기본급의 200~300% 수준으로 조정한 바 있어 올해도 비슷한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예측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