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최근 한미일 외교부 장관의 북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과 관련해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강조했다. 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전날 ‘미한일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의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입장을 전했다.
지난 3일 김 부부장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 비핵화 의지와 관련해 “실현 불가능한 망상에 불과하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아직도 실패한 과거의 꿈속에서 헤매며 ‘완전한 비핵화’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은 자기들의 정치적 판별 수준이 어느 정도로 구시대적이고 몰상식한가를 스스로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부부장은 “진짜 그것을 믿고 ‘비핵화’를 열창하는 것이라면 뭐가 모자란다는 말밖에 듣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부부장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가 “외부의 적대적 위협과 현재와 미래의 세계 안보 역학 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의 결과”라며 “누가 부정한다고 하여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우리의 면전에서 핵 포기를 공공연히 떠드는 것은 물론 이러저러한 보자기를 씌워 이미 사문화된 ‘비핵화’ 개념을 부활시켜 보려고 시도하는 것 그 자체도 곧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헌법 포기, 제도 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말했다.
김 부부장은 “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이 그 누구의 ‘위협’을 떠들어대며 시대착오적인 ‘비핵화’에 계속 집념한다면 최강의 자위적 핵 역량 구축을 지향하는 우리의 전진 도상에 무제한의 당위성과 명분만을 깔아주게 될 뿐”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9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면에서 미국발 관세전쟁을 지적했다. 신문은 “미국이 손해를 무릅쓰고 관세 몽둥이를 마구 휘두르는 것은 결국 대미 안보 의존에 찌들어 있는 동맹국들을 위협하고 무역 상대국들과 굳어진 경제무역관행을 뒤흔들어 저들의 이익을 최대한 챙기고 패권을 부지해 보려는 투기적·단말마적 발악”이라고 주장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