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입만 터는 문과×들이…” 이국종 발언 접한 이준석, 어떤 반응 보였을까?

이시현 기자 조회수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최근 군의관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국내 의료 및 행정 체계를 강도 높게 비판한 발언이 알려지면서 정치권으로까지 파문이 확산하고 있다. 개혁신당 대선 주자인 이준석 의원도 해당 발언에 공감하며 기존 정치권에 대한 비판을 더 했다.

이 원장은 지난 14일 충북 괴산에서 열린 의무 사관 후보생 대상 강연에서 “조선 반도는 입만 터는 문과 놈들이 해 먹는 나라”라며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전해진 이 발언은 다소 거친 표현이 포함돼 논란을 낳았지만, 이 원장은 강연 도중 “현장에서 헌신하는 이들이 제도와 구조에 치여 희생당하고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필수 의료 분야의 현실을 언급하며 “서울대, 세브란스의 노의들과 공무원들에게 평생 괴롭힘당하며 살기 싫으면 바이탈과(필수의료)는 하지 마라”고 조언했다고 전해졌으며,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의 과로사를 언급하며 “내 인생도 망했다”는 개인적 회한도 내비쳤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강연 녹음이 없어 상세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 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 정치권 반응도 나왔다. 이준석 의원은 15일 SNS를 통해 “다소 거친 표현이 전해졌지만, 냉정하게 국가의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는 “전문성을 무시한 채 무지한 결정을 내리는 고위 공직자들 때문에 중요한 분야가 흔들린다”며 의료계와 AI 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을 비판했다.

이 의원은 특히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대해 “대통령이 숫자 2,000에 꽂혀 갑자기 의대를 두 배 늘려 의료체계를 위협했다”고 지적했으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의 ‘AI 100조 투자’ 공약과 관련해선 “무지성 숫자놀음”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동훈 후보는 200조를 이야기하는데, 마치 도박장 같다”며 정치권 전반의 정책 결정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국종 원장의 발언과 이를 둘러싼 논란은 단순한 의료계 내부의 문제를 넘어, 정책 결정 구조와 정치권의 대응 방식까지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뉴스] 랭킹 뉴스

  • "계산하려고 했더니..." 스폰서 물 먹였다는 검사 시절 한동훈 일화
  • 소방서에서 "장어 144만 원어치 주세요" 주문했는데... 알고 보니
  • 농구 교실에서 1억 8,000만 원 횡령했다는 유명 농구선수
  • “나이 적을수록 월급 많이 드려요” 난리 난 가사도우미 구인 글
  • "주가 40만원 돌파" 국내 시가총액 9위에 올랐다는 기업, 어디일까?
  • 김정은이 대놓고 자랑했던 평양 53층 아파트, 알고 보니..

추천 뉴스

  • 1
    "연봉보다 쏠쏠" 보험사기 제보한 4000명, 포상금만 15억 받았다

    오피니언 

  • 2
    "주둥이 XX고 처먹어" 요양보호사가 치매 노모에게 했다는 행동

    사건사고 

  • 3
    "300만 원 준다고" 전 직원에 자사주 10주 지급하겠다는 기업, 어디일까?

    기획특집 

  • 4
    “이재용도 실패했는데...” 중대한 결정 내렸다는 롯데 신동빈

    기획특집 

  • 5
    “부동산 때문이라더니" 싱크홀 논란 터진 서울시장 오세훈, 결국...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아들 앞에서.." 쇠 파이프로 아내 폭행해 살해한 변호사, 형량 이렇게 나왔다

    사건사고 

  • 2
    “여기, 강남보다 뜬다" 억대 상승 이어지는 목동, 알고 보니

    기획특집 

  • 3
    13년 만에 8,000억 원 손실 났다는 4대 은행, 원인 밝혀졌다

    기획특집 

  • 4
    "이랜드가 인수하려고..." 이제는 하나의 기업이 됐다는 야구단

    기획특집 

  • 5
    "너무 많이 보인다 했어" 36년만에 점포 줄인 업계, 어디일까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