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강간 특별시, 성범죄 도시냐”…밀양 국회의원들, 특정 지역 출신이었다

문동수 에디터 조회수  

밀양 성폭행 재조명
밀양 특정 지역 4개 선거
국민의힘 소속 후보 4명

"강간 특별시, 성범죄 도시냐"...밀양 국회의원들, 특정 지역 출신이었다

최근 20년 전 발생한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에 가담한 가해자들의 신상이 온라인상에 유포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이어 해당 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알려진 밀양시 공식 유튜브에는 가해자들은 물론 그들을 감쌌던 일부 주민들을 비판하며 지역을 비하하는 댓글이 잇달아 달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일 온라인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밀양 사건이 재조명된 이후 밀양시 공식 유튜브 채널도 몸살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지난 2004년 경남 밀양에서 44명의 남학생이 1년여간 여자 중학생 1명을 집단으로 성폭행한 사건으로 국민적인 공분을 샀다.

당시 가해자로 지목된 남성들은 1986년~1988년생으로, 범행 당시 고등학생이었다. 이 사건이 유튜버들에 의해 다시 조명되며 피해자를 향해 2차 가해성 발언을 하며 가해자들을 감쌌던 밀양 주민들의 언론 인터뷰 내용 역시 연달아 화제다.

출처 : MBC

이는 과거 한 밀양 주민이 “여자한테 문제가 있으니까, 남자가 그러는 거다, 꽃뱀이나 마찬가지다. 돈 딱 물고 합의 보고”라고 말한 영상이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주목받은 것이다. 이어 당시 사건을 조사하던 경찰이 대면조사에서 피해자에게 “먼저 꼬리 친 것 아니냐”, “밀양 물을 다 흐려 놓았다” 등의 폭언을 한 사실이 전해지며 또 한 번의 국민적인 공분을 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밀양 주민 및 밀양의 구성원들이 피해자를 욕하고 가해자를 감쌌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밀양 지역 자체에 대한 인식이 나빠졌다.”, “밀양이라고 하면 거부감이 든다”와 같은 반응을 보이는 이들이 등장했다. 이어 네티즌들은 밀양시 공식 유튜브를 찾아가 부정적인 댓글을 남긴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밀양시청

실제로 지난 1일 올라온 ‘밀양 초여름 걷기 좋은 밀양의 명소’라는 제목의 영상에는 “여자 혼자 인도 여행하기 vs 여자 혼자 밀양 여행 가기”, “멘트도 역겹네요. 걷기 좋은 도시라뇨? 돌아다니다 강간당하면 강간당한 사람이 잘못이라고 할 텐데 여기 경찰들을 어떻게 믿고 돌아다녀요”, “밀양시 관계자가 무슨 관계자인지 모르겠지만 “20년 전의 사건이 소환되면서 밀양의 좋은 이미지가 한꺼번에 무너지는 것 같아 가슴 아프다. 그동안 좋은 이미지를 갖기 위해 많이 노력해 왔는데…”라고 했다고요? 양심이 없다” 와 같은 댓글을 남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진단 강간 시네요?”, “성폭행범들 신분 세탁 해주는 곳 밀양”, “성폭행의 도시 밀양”과 같은 조롱성 댓글도 달리며 밀양시를 향한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상황에 따라 밀양시를 이끌어가는 이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특히 밀양시 내 특정 지역의 고향 형·동생들이 제22회 국회의원과 밀양시장·도의원·시의원 4개 선거에 당선됐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화제가 됐다. 당초 밀양은 총선과 함께 박일호 전 시장이 국회의원 출마 선언을 하며 ‘도미노’로 도의원·시의원이 중도 사퇴해 보궐선거를 치른 바 있다.

"강간 특별시, 성범죄 도시냐"...밀양 국회의원들, 특정 지역 출신이었다

4개의 선거가 동시에 진행된 밀양시는 국민의힘 소속 후보 4명이 당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국회의원(밀양·의령·함안·창녕) 선거구에 박상웅 당선인, 밀양시장에 안병구 당선인, 밀양 2선거구(삼랑진·하남읍·상남면·초동면·무안면·청도면·가곡동) 도의원에 조인종 당선인, 밀양 마 선거구(하남읍·초동면·무안면·청도면) 시의원에 김종화 당선인으로 알려졌다. 당선인들의 고향이 모두 밀양 초동면이라는 점과 중학교까지 밀양지역에서 다녔다는 점에서 총선 결과가 나온 이후 주목을 받았다.

초동면 출신인 당선인들은 나이가 많게는 열여섯 살까지 차이가 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선후배, 사석에서는 형·동생이라 부르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고향에서 시절을 보낸 1970년대에는 초동면에 초등학교가 4곳이나 있을 정도로 인구가 많았지만, 현재는 1곳만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지난 3월 기준 초동면의 인구는 3,286명으로 전체 인구 10만 1,649명인 밀양시의 16 지역 중 12번째의 인구수를 가진 곳으로 알려졌다.

한편, 20년 전 사건이 재조명되자 경남 밀양시 당선인들의 근심은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점점 커지는 국민적 공분에 도시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으며, 어디서부터 어떻게 바로잡아야 할지에 대해 감도 오지 않는 사건의 규모가 달려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출처 : 밀양시청

가해자의 신상을 최초 폭로한 채널이 44명의 가해자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당 가해자의 신원에 거짓 정보가 섞이고 피해자가 가해자 정보 공개를 원치 않는다는 등의 입장을 밝혔으나 일부 유튜버들이 남은 가해자들의 신원을 공개하며 논란은 거세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임 시장 총선 출마로 공석이 된 밀양시장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안병구 시장에게는 날벼락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영남루 국보 승격 기념 밀양 아리랑 대축제를 성황리에 마치고, 삼양식품 밀양 제2공장 건립 추진 등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며 시정 안정화를 바라던 밀양시의 모든 이슈가 성폭행 사건에 묻혔기 때문이다.

온라인상에서 밀양이 ‘강간 특별시’, ‘성범죄의 도시’ 등으로 불리며 분위기를 전환하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현재 밀양시청의 시민의 소리 게시판에는 밀양시의 공식 입장 발표를 원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밀양시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author-img
문동수 에디터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1

300

댓글21

  • 밀대로 밀어서 간강하는 양임없는 도시.절대가지 마라.

  • 교도소 신축 후보지역

  • 20년전 죄 있으면 지금이라도 밝혀 젔으면 자수하고죄값 받으세요..그래야 당신들 자식들까지 더러운 똥물. 안 툅니다

  • 뭐 어쩌라고 관심없어

  • 속으로 곪아 썩어빠진 권력집단들 ...으이그 저런걸 뽑은사람들은 뭐보고 뽑았을까...

[뉴스] 랭킹 뉴스

  •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 돌입...첫 행보는 '이곳'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 IPO 상장 절차 돌입…화장품 사업가 된 홍진영의 브랜드, 뭐길래?
    IPO 상장 돌입…화장품 사업가된 홍진영의 브랜드, 뭐길래?
  • 코스닥 대신 나스닥 상장하는 韓 기업들…대체 왜 이런 결정을?
    코스닥 대신 나스닥 향한 韓기업들…분명한 이유 있었다
  • “김호중 소속사 망했다더니”…사명 변경 수순에 업계 ‘발칵’
    “김호중 소속사 망했다더니”…사명 변경 수순에 업계 ‘발칵’
  • 집회 현장에서 처음 듣는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반응
    집회 현장에서 처음 듣는다는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반응
  • 신세계 정용진 인사 '칼바람'...새로운 대표 출신 알아보니 '깜짝'
    신세계 정용진 인사 '칼바람'...새로운 대표 출신 알아보니 '깜짝'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불의에 맞서 싸웠는데…” 구하라 죽음 뒤 금고 털이범 몽타주가 공개된 이유
  •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인사이드아웃2 캐릭터 MBTI 추측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대출 금리 가장 낮게 측정된 직업…의사도, 변호사도 아니었다
  •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봉준호 때문에 결혼 전부터 이혼 할 뻔 했다는 부부
  •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이것까지 로봇이 해주네??”, 현대, 성수동 오피스 건물서 로봇 서비스 개시
  •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올해 中 전고체 배터리 시장 70% 성장 전망
  •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가집행 신경썼나?” SK그룹 사업재편의 첫 행보는 ‘이곳’
  •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IMF “AI에 탄소세 부과해야”
  •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中 태양광 산업 고속 성장세 지속
  •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중국 AR/VR 헤드셋 1분기 출하량 37.8% 감소
  •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中 반도체 굴기의 현주소…작년 폐업한 기업 1만개 돌파, 23곳은 상장 철회

추천 뉴스

  • 1
    최태원이 '동거인'에게 지출한 219억, 어디에 쓰였나 봤더니…

    기획특집 

    최태원이 '동거인'에게 지출한 219억…어디에 어떻게 쓰였나 봤더니
  • 2
    무명 개그맨 "직업 바꿨더니 이젠 월 3천만원씩 저축하죠"

    국제 

    직업 바꿔 월 3천 저축한다는 무명 개그맨…직업 바꾼 사연 뭐길래?
  • 3
    거의 평점 4점인데...유일하게 평점 1.5점인 스타벅스 매장, 이유가?

    사건사고 

    거의 평점 4점인데...유일하게 평점 1.5점인 스타벅스 매장, 이유가?
  • 4
    "배상금이 무려..." 노소영 이혼소송 이겼지만 SK에 '이 건물' 뺏겼다

    오피니언 

    노소영 이혼소송 이겼지만 SK에 '이 건물' 뺏겼다···배상금이 무려
  • 5
    SK가 138억 투자하고, 젠슨황이 매일 쓴다는 '기술'...한국에 들어온다

    국제 

    SK가 138억 투자하고, 젠슨 황 매일 쓴다는 '기술'...한국에 들어온다

지금 뜨는 뉴스

  • 1
    파업에도 美 투자 결정했던 '현대제철'…2년 지난 지금은?

    기획특집 

  • 2
    “대놓고 사기 치는 수준”…하자 전문가 대동 금지한 건설사 어디?

    오피니언 

  • 3
    “교촌치킨의 민낯입니다”…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논란의 '사진'

    사건사고 

  • 4
    "공공기관 중 S등급 없다”…평가 수준 ‘낙제점’ 받은 기관은 어디?

    기획특집 

  • 5
    의대 증원 소신 발언한 이국종 교수…뭐하고 지냈나 봤더니

    오피니언 

공유하기

21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