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갔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용산에도 지하 벙커가 필요했지만, 급작스럽게 이전을 준비하면서 주요 설비를 확보하지 못했다”라며 “청와대 지하 벙커(의 일부)를 뜯어갔다”라고 밝혔다.
그는 “(청와대) 지하 벙커는 완비에 약 1년이 걸리는 시설”이라며 “정상 가동을 위해선 현장에서 무엇을 뜯어갔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위기관리센터를 분리해 운영해야 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청와대 복귀 시점에 대해선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최소 한 달에서 최대 석 달이 걸릴 수 있다”라고 전했다.

보안 문제 역시 제기됐다. 윤 의원은 “본관, 영빈관 등 일반 공개된 구역은 보안 강화가 필수”라며 “여민관과 지하 벙커, 경호처는 상대적으로 개방되지 않아 보안 조치가 상대적으로 덜하다”라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관저와 관련해 사생활 문제와 개·보수 등 현실적인 한계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관저는 사생활 공간임에도 너무 많은 공간이 이미 공개됐고 실거주지로 활용하기엔 부적합할 수 있다”라며 “나 같으면 이사를 고려하겠다”라고 밝혔다. 대통령 내외가 청와대 관저에 입주할 경우, 북악산 통제 등 국민 접근권 제한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청와대 동선을 개방하고 관저를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다”라며 “당시 ‘광화문 시대’ 구상에서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이전하는 방안과 함께 관저의 외부 이전도 유력한 안으로 논의됐다”라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현재 이재명 대통령이 머무는 안가 인근이 새로운 관저 부지로 유력하며 한남동 관저는 교통 및 보안상의 제약이 있어 적절치 않다고도 전했다. 그는 “새 관저를 건립할 경우 비용 문제가 남는다”라며 “최종 결정은 대통령 내외의 몫”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