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가 한국 드라마의 급등한 제작비에 제동을 걸기 위해 배우 출연료 상한선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배우 출연료를 회당 4억 원 선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적용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 측은 “출연료 문제는 제작자, 감독 모두가 공감하는 고민”이라며 “K콘텐츠가 글로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제작비 상승이 지속되면 결국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넷플릭스 진출 전 한국 드라마 제작비는 회당 3~4억 원 수준이었지만, 최근에는 20억 원 이상으로 늘어났다. 실제로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폭싹 속았수다’는 600억 원, 6월 말 공개를 앞둔 ‘오징어게임3’는 1,000억 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높은 제작비의 주된 원인으로는 유명 배우들의 출연료 상승이 지목된다. OTT 확산 이후 스타 배우들의 수요가 늘면서 몸값 역시 치솟았고, 이는 국내 제작사들의 부담으로 이어졌다.
‘오징어 게임’을 통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끈 배우 이정재는 회당 10억 원의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유와 박보검은 5억원, 박은빈은 3억원을 회당 출연료로 받고 있다는 설이 나왔다. 이에 대해 소속사 대다수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억울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일본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 일본 넷플릭스 오리지널에서 주연 배우는 회당 약 1천만 엔(약 9,300만 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톱배우 출연료가 적게는 3~4배, 많게는 10배에 달하는 셈이다. 이로 인해 한국은 회당 20억 원의 제작비가 기본이지만, 일본은 절반 수준에서도 제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댓글1
95056323
그럼 일본에서 만들면 되겠고만 넷플릭스가 수지가 안맞으면 옮겨가겠지? 그게 자본주의 시장의 원리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