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반도체, 의약품도”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에 폭락 중인 종목, 뭐일까?

박신영 기자 조회수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
뉴욕 증시, 5년만 최악 폭락
7개 대형주 시총 1,452조 원 증발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관세부과 발표하면서 뉴욕 증시 3개 지수가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애플, 엔비디아 등 주요 7대 대형주 또한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뉴욕 증시에 따르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4만 545.93포인트(p)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전장 대비 1,679.39포인트(3.98%) 하락한 수치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p(4.84%) 하락한 5,396.5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1,050.44p( 5.97%) 급락한 1만 6,550.61에 거래를 마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뉴욕 증시에서 다우 지수와 S&P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락이었으며, 미국 증시에선 3조 1,000억 달러 규모의 시가 총액이 증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낙폭을 두고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를 일으켜 글로벌 무역 전쟁을 격화시키며 미국 경제에도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로 인해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7개 대형주의 시가총액이 폭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상호 관세 부과 발표 다음 날인 뉴욕 증시에서 애플과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7개 대형주의 시가총액이 1조 달러, 한화로 1,452조 원 이상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으로 꼽히는 시가총액 1위 애플의 주가는 203.19달러(29만 4,970원)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전날 대비 9.25% 하락한 수치다.

이는 지난해 6월 10일(종가 기준 192.47달러)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금액으로, 이번 낙폭은 2020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 규모이다. 애플의 시총 또한 3,110억 달러(450조 9,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의 대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 주가도 101.80달러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7.81% 떨어진 수치다. 이에 시총 또한 2,030억 달러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5.47% 하락했으며, 시총은 400억 달러가 증발했다.

7대 대장주 중 하나인 아마존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주가는 각각 8.98%, 8.96%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두 기업의 시총도 각각 1,940억 달러, 1,350억 달러씩 하락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각각 3.92%, 2.36% 감소해 다른 대장주들 대비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대형주의 급락에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등 모든 국가에 ‘10%+α’의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제품을 제조, 생산하는 이들 기업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이들은 애플은 아이폰 등 주요 기기 대부분을 중국 등 아시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낙폭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4일 뉴시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도 조만간 (관세부과가) 시작될 것이다”라며 “의약품도 관세를 부과해 전에 볼 수 없던 수준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그는 “지금 의약품 분야를 살펴보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 관세와) 별도의 분야다”라며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예정이며 현재는 검토 중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와 일부 부품에 대해서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은 품목별 관세를 더 증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해왔다. 이에 반도체와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국제] 랭킹 뉴스

  • "이틀 만에 384조 증발" 난리났다는 엔비디아, 현재 상황
  •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 "이건 좀.." 이정후 무시하다가 바로 아웃당한 MLB 선수
  • 월드컵에 중국 출전시키고 싶은 FIFA, 이 정도까지 합니다
  • 구단 여성과 불륜으로 경력 절단났다는 김민재 동료 선수, 누구일까?

추천 뉴스

  • 1
    "건국 이래 최대" 6400억 원 사기극 벌였던 여성, 현재 이렇게 살죠

    기획특집 

  • 2
    계약 시작 하루 만에 완판됐다는 1억 6천만 원짜리 자동차

    모빌리티 

  • 3
    "음료수 사줄까?" 강남에서 초등생 유인 사건 발생했다

    사건사고 

  • 4
    밀양 성폭행 가해자 신상 공개한 유튜버, 징역 3년 받았다

    사건사고 

  • 5
    "범인은 이재명 아들이다?" 도봉역 벤츠 난동 사건, 루머까지 나왔다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군 면제받은 이재명" 병역제도 바꾸겠다는 이유 알고 보니

    기획특집 

  • 2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국제 

  • 3
    "입주한 지가 언젠데“ 추가 분담금 1500만원 더 달라는 아파트

    기획특집 

  • 4
    이베이는 실패하고, 스타벅스와 맥도날드는 성공한 이유

    기획특집 

  • 5
    "이재명, 음모 꾸미고 있다" 권성동 文 통계조작 두고 날린 발언

    사건사고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