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추정 가치만 1,800억…줍기만 해도 돈 번다는 ‘링컨 페니’, 뭐길래?

한하율 기자 조회수  

1센트 동전(페니) 생산 중단 지시
1943년 청동 페니 약 33억 추정
페니 생산 완전 중단 시 가치 ↑

출처 : 게티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센트 동전(페니) 생산 중단을 지시하면서 ‘링컨 밀 페니’의 가치가 최대 1,800억 원에 달한다는 주장이 등장했다. 이는 해당 동전의 희귀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페니의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현지 시각으로 10일 영국 매체 더 미러는 링컨 밀 페니에 대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링컨 페니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가치 있는 동전 중 하나로 평가된다”라며 “전체 가치는 약 1억 2,100만 달러(약 1,760억 원)에 달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 중 일부 동전은 약 1억 2,100만 달러(약 1,760억 원)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보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링컨 페니는 1909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10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주조된 동전이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링컨 페니의 앞면에는 링컨의 옆모습이, 뒷면에는 밀 이삭이 새겨져 있으며 1958년까지 발행됐다. 1858년 이후에는 디자인이 변경돼 ‘링컨 기념관 페니’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

더 미러는 이 중 1909년, 1914년, 1943년, 1955년에 발행된 링컨 페니를 주목했다. 이는 해당 동전들의 희귀성이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1909년 발행된 일부 동전은 디자이너의 이니셜이 새겨져 한정판으로 제작됐고, 1943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철 대신 청동으로 제작된 일부 동전이 희귀성을 인정받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여기에 미국 현지 라디오인 WBZA에 따르면 1943년 청동 페니는 약 230만 달러(약 33억 5,000만 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연도 오류가 있고 철로 주조된 1944년 링컨 페니의 가치는 110만 달러(약 16억 원), 청동 판금으로 주조된 1943년 링컨 페니의 가치는 28만 2,000달러(약 4억 원) 등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이 동전들은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어 일반인이 우연히 소지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어 해당 동전의 가치 평가에서는 보존 상태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상태가 양호할수록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보관에 유의해야 한다.

지난해 미국에서 약 32억 개의 페니가 제조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동전의 가치는 크지 않으리라고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새로 발행된 전체 동전의 절반을 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1센트 동전의 생산 중단을 지시하며 이 페니들 역시 향후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만약 페니 생산이 완전히 중단될 때 희귀 동전의 가치가 더욱 상승할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이에 미국 내에서 기존 링컨 페니를 보유한 사람들이 향후 시장 변화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한국에서도 희귀 동전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사례는 빈번하다. 실제로 지난해 화폐 수집상과 공모해 희귀 동전을 빼돌려 수천만 원을 챙긴 혐의로 기소된 전 한국은행 직원이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당시 한국은행 직원 A 씨는 2018∼2019년산 100원짜리 동전 24만 개를 출고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8년 발행된 주화가 액면가의 최고 196배, 2019년 100원 주화는 64배에 거래됐기 때문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한국은행은 자체 감사를 통해 2018∼2019년산 100원 주화가 선물용이나 기념품 등으로 배부된 것 외에 지역본부에서 정상 절차를 거쳐 외부로 출고된 사례는 없다는 사실을 확인해 A 씨를 경찰에 고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동전은 재테크의 수단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이보다 앞서 일본에서는 이미 동전 수집이 재테크로 자리 잡았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100년도 더 전에 유럽 등지에서 발행된 옛 동전(앤틱 코인)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한 개에 수백만 엔(수천만 원)에서 수천만 엔(수억 원)에 거래되는 동전도 많아 동전 재테크에 대한 자국민의 관심도 역시 높다.

 

 

author-img
한하율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국제] 랭킹 뉴스

  • “눈꼴 사나워” 지적받았지만... 역대급 실적으로 전 세계가 놀랐습니다
  • "저출산에 피눈물 흘렸는데" 해외 수출에 제2 전성기 기대 중이죠
  • “전략비축 자산 지정”...세계 최빈국 부탄 ‘대박’ 터뜨린 트럼프의 말, 뭐길래
  • 망신살 뻗쳤던 한국 잔디...“오만이 나아” 손흥민 ‘작심발언’ 뒤 지금은?
  •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현재 상황은 이렇습니다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지금은?
  •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추천 뉴스

  • 1
    망신살 뻗쳤던 한국 잔디...“오만이 나아” 손흥민 ‘작심발언’ 뒤 지금은?

    국제 

  • 2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지금은?

    국제 

    '주인 없는 회사' 표방하며 회장 없던 제약회사, 현재 상황은 이렇습니다
  • 3
    ‘대기업’ 최초 사례라는 오명 쓴 한화오션...현재 상황 심각합니다

    사건사고 

  • 4
    “많은 비판 있었죠” 동네 빵집 하나로 시작한 사장님...인생 역전한 사연

    기획특집 

  • 5
    건물주 되기 싫다던 스타도 이렇게 부동산 해서 돈 법니다

    오피니언 

    건물주 되기 싫다던 스타도 이렇게 부동산 해서 돈 법니다

지금 뜨는 뉴스

  • 1
    “한국엔 돌아갈 이유 없다”…유턴기업 발목 잡는 규제 내용

    기획특집 

  • 2
    부도난 '대우그룹' 본부장이 사들인 김우중의 차명 계열사...지금은?

    사건사고 

  • 3
    “59년 만에 1조 달러 달성 쾌거…이곳 덕분이었죠”

    국제 

  • 4
    "누가 이력서를 읽어?” 2025 채용시장에 등장한 방식, 바로?

    오피니언 

  • 5
    "시험 응시자 수 8년 만에 최저” 줄폐업 이어지고 있다는 업계 현황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