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국내 최대 ‘공채’ 시작한 삼성…이재용이 끝까지 ’인재 경영‘ 고집하는 이유

한하율 기자 조회수  

삼성그룹 상반기 채용 원서 접수
경영환경 악화에도 대규모 채용
국내 기업 최초 공채 의지 이어가

출처 : 삼성전자
출처 : 삼성전자

최근 삼성그룹이 주요 16개 관계사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공채)에 돌입한 가운데 재계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인재 경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최근 기업들이 경기 침체 장기화의 영향으로 인력을 감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달리 삼성은 ‘더 많이 투자하고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라는 이재용 회장의 뜻에 따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양질의 국내 일자리를 확대할 전망이다.

지난 9일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공채를 하는 삼성 계열사는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삼성전기·삼성SDI·삼성SDS·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삼성물산·삼성중공업·삼성 E&A·삼성생명·삼성화재·삼성증권·제일기획·에스원·삼성웰스토리 등 총 16곳으로 확인됐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에 삼성은 10일부터 17일까지 삼성 채용 홈페이지 삼성커리어스에서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에 지원서를 신청받는다. 삼성에 따르면 지원서의 접수 이후 온라인 삼성 직무적성검사 GSAT(Global Samsung Aptitude Test, 4월), 면접(5월), 건강검진 순으로 채용 절차가 진행된다.

삼성의 이러한 행보는 타 대기업의 행보와 달라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는 최근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이’채용 축소‘의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미국 기업들은 수차례에 걸쳐 인원을 감축했으며, 국내 기업의 대부분이 상반기 공채 계획을 수립하지 않는 등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데도 삼성은 대규모 일자리 창출에 힘쓰며 불확실한 경영 상황에도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앞서 삼성은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4만 명 이상을 채용했고,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8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올해 삼성의 채용 규모는 상·하반기 포함 1만 명 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 호암자전
출처 : 호암자전

이처럼 삼성이 대규모 채용 계획을 수립하는 이유는 이재용 회장의 ’인재 경영‘ 의지가 깊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실제로 이재용 회장은 지난 2022년 10월 회장 취임 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창업 이래 가장 중시한 가치가 인재와 기술”이라며 “성별과 국적을 불문하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인재를 모셔 오고 양성해야 한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어 “투자와 고용 창출이라는 기업의 본분에 충실해야 한다”라고 언급하며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의 행보를 지속적으로 보여왔다. 재계에서는 이런 이재용 회장의 의지를 두고 과거 선대 회장의 의지를 이어받는 행보로 평가했다.

이는 삼성이 지난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한 이후 70여 년간 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4대 기업 중 유일하게 공채를 유지 중이며, 공채로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이는 창업 회장인 이병철 회장의 의지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이병철 회장은 ’인재 제일‘ 경영 철학을 기반으로 국내 기업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한 인물이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를 이어받아 이건희 회장은 능력 중심의 인사를 구현하기 위해 국내 최초 대졸 여성 신입 사원 공채, 입사 요건 중 학력 제외 등 인사 제도 혁신을 주도하기도 했다.

재계에서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 딸들을 향해 이건희 선대 회장이 “여자도 사회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한 사실이 유명하기도 하다.

더하여 이재용 회장은 지난 2022년부터 조직의 활력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직급 통폐합 등을 통한 수평적 조직문화 확산, 직급별 체류 연한 폐지, 평가제도 개선을 골자로 하는 인사제도 시행을 주도하기도 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한편, 국내 인재 채용과 더불어 삼성은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외국인 채용을 확대하며 첨단 기술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삼성의 주요 계열사들은 ‘R&D 분야 외국인 경력사원 채용 공고’를 올리고 서류 신청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사측은 외국인 경력 채용의 문턱을 낮춰 주요 첨단 산업에서 글로벌 기술 및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인재를 확보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다.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은 당초 학사 취득 후 2년 이상 유관 경력 보유를 지원 자격으로 뒀지만, 당시 채용에는 석·박사 학위 취득(예정)자의 경우 수학 기간을 경력 기간으로 인정하는 등 채용 문턱을 낮춘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1

300

댓글1

  • 이용희

    화이팅 건강챙기시구요 ♡♡♡합니다

[국제] 랭킹 뉴스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 "이건 좀.." 이정후 무시하다가 바로 아웃당한 MLB 선수
  • 월드컵에 중국 출전시키고 싶은 FIFA, 이 정도까지 합니다
  • 구단 여성과 불륜으로 경력 절단났다는 김민재 동료 선수, 누구일까?
  • 오바마 전 대통령과 '불륜설' 터진 할리우드 여배우, 누구일까?
  • 오타니보다 잘 친다는 이정후, 성적 MLB에서 몇 등일까?

추천 뉴스

  • 1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2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 3
    "마음 편히 살겠다" MZ세대가 아파트 대신 선택한다는 주거 형태

    오피니언 

  • 4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사건사고 

  • 5
    OTT 시장 커지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PPL, 어떻게 달라졌을까?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팔아버린 외국인 투자자, '이 종목'은 쓸어 담았다

    기획특집 

  • 2
    “포스코·현산 정면으로 붙었다”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 대어’라는 지역

    오피니언 

  • 3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4
    “일 안 할래요..." 실업급여로 1억 받아간 사람 있었다

    사건사고 

  • 5
    1000만 원으로 시작해 대기업 만들어낸 한국 IT의 대부

    기획특집 

공유하기

1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