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돌 선물로 제격” 요즘 골드바보다 인기 더 높아졌다는 상품, 바로…

박신영 기자 조회수  

콩알금 구매 많아져
“돌 선물로 제격”
금값 상승 계속될 것

출처 : rok__gold 인스타그램
출처 : rok__gold 인스타그램

금값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콩알금이 30분 만에 완판돼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13일 꾸준히 ‘콩알금’을 사 모으고 있는 이 모 씨(53)에 따르면 보통 4시간 동안 ‘공구’를 진행했던 한 쇼핑몰의 콩알금이 이날 30분 만에 완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씨는 “’오픈런’을 했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구매를 못 할 뻔했다”라며 “금값이 하도 오르길래 평소에 한 돈씩만 사던 걸 다섯 돈으로 늘렸는데 다른 사람들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라고 전했다. 16일 귀금속 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콩알금을 찾는 소비자들이 급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온라인 쇼핑몰 ‘골드젬’ 관계자는 “지난주에 공구를 진행했는데 600건 택배 물량이 6시간 만에 마감됐다”라고 말했다. 김진관 수앤진골드 대표도 “이번 달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수준”이라며 “지난해 12월부터 수요가 부쩍 늘더니 이번 달은 그야말로 파죽지세”라고 이야기했다.

콩알금은 0.5에서 한 돈(3.75g) 사이의 저중량 금을 의미하며, 크기가 작은 만큼 가격 부담이 적고 주로 온라인으로 거래돼 구매가 간편하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콩알금은 덩어리 형태의 ‘막금’부터 하트, 곰돌이 등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종로 금은방 거리에 위치한 대한민국 금 거래소 관계자는 “투자 목적 구매자가 대다수인 만큼 별도의 세공비가 들지 않는 막금 수요가 가장 높다”라고 밝혔다.

출처 : 한국조폐공사
출처 : 한국조폐공사

당초 콩알금은 2030 세대 사이에서 절약과 재테크를 결합한 ‘짠테크’의 일종으로 인기가 많았다. 하지만 골드바 품귀 현상이 빚어지는 등 실물 금 확보가 힘들어지면서 현재는 다양한 연령층이 유입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반떼’ 관계자는 “구매자 연령대를 보면 10대부터 70대까지 정말 다양하다”며 “30대가 가장 많긴 하지만 체감상 고르게 분포돼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귀금속 거리의 한 금은방에 따르면 ‘콩알금’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져 당시 한 돈짜리 콩알금은 모두 판매됐고 반 돈, 1g짜리만 남아있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이와 더불어 손톱보다 작은 콩알금은 한 돈짜리가 약 67만 원, 반 돈짜리가 30만 원에 판매된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은 “요즘 한 돈짜리 콩알금은 없어서 못 판다”라며 “콩알금은 보통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두는데 예쁘게 보관하시라고 유리병에 입힐 옷과 모자 등을 함께 판매한다”라고 언급했다. 금값 폭등에 골드바 거래 중단 사태까지 벌어진 가운데 자그마한 ‘콩알금’을 야금야금 모으는 투자가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금값은 이달 들어 온스당 3,000달러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다. 지난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골드바의 g당 금값은 15만 6,230원으로 확인됐다. 해당 금액은 거래소 금 시장이 개장한 2014년 3월 이후 역대 최고치를 넘어섰다. 지난해부터 결혼기념일마다 콩알금을 모으고 있는 이재영(33) 씨는 “경기가 워낙 불안정하다 보니 비교적 안정적인 금에 투자하게 됐다”라며 “다른 이벤트에 돈을 쓰기보다 금을 모아 미래에 자녀를 위해 쓰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출처 : 한국표준금거래소
출처 : 한국표준금거래소

금값이 폭등에 돌 반지 선물이 부담스러워 콩알금을 건네는 이들도 많아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반지보다 세공비가 적게 들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정 모 씨(30)는 “현금을 주기엔 성의가 없어 보이고, 아기용품을 주기엔 엄마의 취향에 맞지 않을까 고민하다 저중량 금반지를 발견했다”라며 “한 돈짜리 돌 반지는 가격이 부담스러웠는데, 0.5g짜리는 10만 원 내외로 선물하기에 아주 제격이었다”라고 전했다.

금값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17일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시중에 풀린 돈이 많고 현재 금리가 내려가는 추세이므로 당분간 금값 상승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한편, 같은 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이달 들어 13일까지 총 406억 345만 원어치의 골드바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월 동기(135억 4,867만 원)의 3배, 전년 동기(20억 1,823만 원)의 20배에 달하는 수치다.

관련기사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국제] 랭킹 뉴스

  • 계속해서 오르는 금값에 덩달아 오르고 있는 '이것'의 정체
  • 만삭에도 홍상수 내조 나선 김민희...간통죄 폐지에도 처벌 가능하다고요?
  • “스마트폰 하나로 떼돈 벌기 가능해집니다” 가상화폐 불 지핀 코인의 정체
  • 60억 탈루 논란 이하늬, "150억 가치" 보유 건물 위치 어디길래...
  • “우려하던 일 터져” 개인정보 中에 넘긴 딥시크, 처벌 방식 한국만 달랐다
  • “이미 11개 공항 적자 1,449억인데 정부는 10개 더 짓겠다고요?”

추천 뉴스

  • 1
    “지금 국장 들어가도 될까요?”에 전문가들의 대답, 충격입니다

    기획특집 

  • 2
    "민주당은 중도 보수" 이재명의 '오락가락'에 여야 반응, 심상치 않습니다

    뉴스 

  • 3
    "235명 등록 포기했다" 서울대 정시 합격생 대거 포기한 이유는

    뉴스 

  • 4
    "공인이니까 감내"...여전히 솜방망이라는 사람 잡는 악성 댓글

    기획특집 

  • 5
    "고작 한달만에"...효과 없다고 정부가 바로 부활시키는 법안, 뭐길래?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여기서 더 오른다고?" 역대 최고가 달성한 종목, 이거였다

    오피니언 

  • 2
    '오세훈’ 고집에 맞불 놓은 경기도, 결국 마지막 카드까지 꺼냈습니다

    기획특집 

  • 3
    김 여사 "장관 시켜주겠다" 김 전 의원에게 한 제안, 뭐길래

    뉴스 

  • 4
    "한동훈 테마주 또 급등... 대상홀딩스, 지금이 기회일까 함정일까?"

    사건사고 

  • 5
    "친일파 후손들, 환수는커녕 상속 다툼? 정부는 왜 손 놓았나 봤더니..."

    기획특집 

공유하기

0

뷰어스 입점 신청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