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5시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복귀한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일주일만이다. 정치권은 윤 전 대통령이 향후 ‘사저 정치’에 본격 나설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탄핵 사태 이후 윤 전 대통령은 보수층의 핵심 지지 기반으로 재부상하며 존재감을 키워왔다. 일각에서는 “탄핵 반대 여론이 30%를 넘기면서 보수 진영에서 윤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다시 강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도 하나둘 그와의 거리 좁히기에 나선 모양새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에 머무는 동안 나경원·윤상현 의원, 전한길 한국사 강사 등 탄핵 반대 진영 인사들과 연달아 만났다. 10일에는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철우 경북지사도 관저를 찾아 “충성심을 기준으로 사람을 써야 한다”는 윤 전 대통령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이처럼 윤 전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인사들과 연대하는 모습에 정치권 일각에선 ‘사저 정치’가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성 지지층과의 연대를 통해 영향력을 회복하려는 전략이지만, 조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이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사저 정치는 자제해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이 전면에 나설수록 당은 탄핵 프레임에 다시 갇힐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권은 윤 전 대통령의 향후 메시지와 행보가 야권의 대선 전략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시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