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붉게 달아오른다면, 단순한 체질 문제로 넘기기보다 건강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특히 이 증상이 위장 및 췌장과 관련한 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스코틀랜드의 응급의학 전문의 마이클 므로진스키 박사는 최근 SNS를 통해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독성 물질의 축적으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 물질은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장기간 체내에 남을 때 위와 식도, 췌장 등 상부 위장관 장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은 특정 유전적 변이와 관련이 있다. 특히 아시아인에게 흔한 유전자로, 알코올을 분해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가 결핍돼 있어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축적되기 쉽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전적 체질을 가진 사람들이 위암, 식도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증상이 심하면 얼굴 홍조 외에도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심박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영양 전문가들은 보드카, 위스키, 럼과 같이 도수가 높은 증류주나 발효 부산물이 많은 술이 이러한 반응을 더 심하게 유발할 수 있다며, 음주 습관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