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장소에서 술에 취해 쓰러졌다는 신고가 서울 곳곳에서 잇따르고 있다. 시민들이 과거보다 주취자를 더 이상 ‘남의 일’로 보지 않고, 공공질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되면서 관련 신고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접수된 주취자 관련 112 신고는 총 6만 7,22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4만 8,432건 대비 38.8%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112 신고가 약 9%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주취자 신고만 뚜렷하게 증가한 셈이다.

서울의 주취자 신고는 2021년 3만 3,215건에서 해마다 증가해 3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시민들의 인식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음주 문화가 사적 모임 중심으로 바뀌면서 과음으로 인한 상황도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의 한 지구대 소속 경찰관은 “예전에는 주로 중년 남성 관련 신고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연령과 성별 구분 없이 20대 여성 취객 신고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특히 주취자 신고는 유흥시설이 밀집된 지역에 집중됐다. 지난해 서울에서 주취자 신고가 가장 많았던 곳은 마포경찰서 관할 홍익지구대로, 1년간 2,398건이 접수됐다. 이어 영등포서 중앙지구대(1,023건), 관악서 당곡지구대(964건), 광진서 화양지구대(962건) 순이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