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다들 타기 싫다며?.. 온갖 욕 먹던 현대차, 누적 판매량 대기록 썼다

윤미진 기자 조회수  

56년 역사 현대차
누적 판매 1억 대 달성
성공 계속해 이어갈까?

현대차-누적-판매량

2024년 현대차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
현대차는 지난 13일 삼성전자 우선주를 누르고 시가총액 5위에 등극했다. 지난달 말 이후 저BPR 주에 대한 재평가와 역대급 호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 시가총액이 급상승한 이유로 보인다.

현대차는 지난 2023년 역사를 새로 썼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3년 역대급 호조로 영업이익 최고 기록 경신 국내시장 점유율 73%를 넘기는 기염을 토했다. 이번 2024년, 현대차는 다른 대기록에 도전한다.

현대차-누적-판매량
사진 출처 = ‘뉴스1’
현대차-누적-판매량

56년 역사 현대차
올해 대기록 세운다

현대차 차량 판매 개시 56년 만인 올해, 누적 판매 1억 대 달성이 코 앞까지 다가왔다.
현대차는 1968년부터 작년까지 총 9,702만 6,331대를 판매했다. 국내에서 총 2,395만 8,257대를 판매했으며, 1976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해외에서는 7,306만 8,074대 판매고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누적 판매 1억 대는 큰 변수가 없다면, 올해 안으로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누적 판매까지 남은 대수는 약 297만 대다. 현대차는 올해 판매 목표를 424만대로 설정했다.
월별 판매 목표가 약 35만 대 수준이기 때문에 오는 9월 1억 대 판매를 넘어설 예정이다.

현대자동차 단일 브랜드로
1억 대 판매 대기록

현대차는 판매 시작 이후 약 18년 만인 1986년 100만 대 판매를 이루었다. 이어 1996년 1,000만 대, 2013년 5,000만 대 판매를 기록했다. 2022년 9,000만 대 판매에 성공했고, 2 만에 1,000 판매가 추가된 1 판매에 도전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업체 중 누적 판매 대수가 1억 대를 넘긴 업체는 독일 폭스바겐, 일본 도요타, 미국 GM과 포드가 유일하다. 현대차 단일로 1억 대 판매를 돌파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미 2016년 1억 대를 판매했으며, 작년 5월 1억 5천 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차의 효차 아반떼
앞으로도 승승장구할까?

1968년 울산공장에서 소형 세단인 ‘코티나’ 생산 이후 지금까지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 아반떼이다. 아반떼는 누적 판매량 1,513만 대를 기록하면서, 현대차의 1억 대 판매 기록을 이끌고 있다. 이어 엑센트(995만 대), 쏘나타(939만 대), 투싼(896만 대)가 기록을 보태고 있다.

누적 판매 1억 대는 축하할 만한 대기록이다. 하지만 현대차는 많은 불안 요소를 갖고 있다. 노조 문제, 전기차 전환과 겹친 전기차 수요 둔화, 국내 소비자 차별 문제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차가 불안 요소를 극복하고 성공을 이어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윤미진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

300

댓글2

  • 리비우스

    그냥 선탁권이 없는거잖아

  • 현기 왜빨지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이병철이 삼성전자보다 '제일제당'을 먼저 만든 '현실' 이유
  • 서울에 '신격호의 꿈'이 있다면...부산에는 ’1조 신동빈‘의 꿈이 있다는데
  • "발 디딜 틈 없다" 세계적 돌풍에 사람 몰려... 주민들 '함박웃음'
  • 박수홍 부부가 70억 주고 매수한 압구정 신현대...“이유 따로 있었죠”
  • “계엄 사태에도 올라간 사관학교 경쟁률”... 경찰대와 비교해 봤더니 ‘반전’
  • "외국인 노동자 고용하는 것보다"...채용 판 뒤바뀐 제조업 ‘무슨 일이?’

추천 뉴스

  • 1
    "나도 여기서 사려했는데..." 사기 증가하는 쇼핑몰, 소비자는 '아뿔싸'

    사건사고 

  • 2
    “5만 전자 언제 끝나나요?” 주주 곡소리 등장한 삼성전자 주총 현장

    Uncategorized 

  • 3
    ‘직무유기 수준’이던 낡은 주거법, 변경 소식에 ‘기대감 솔솔’

    뉴스 

  • 4
    서울에 '신격호의 꿈'이 있다면...부산에는 ’1조 신동빈‘의 꿈이 있다는데

    오피니언 

  • 5
    “8년간 의견도 못 좁히더니...” 무리한 ‘이전’ 추진에 혈세만 '펑펑'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똘똘한 한 채’ 의미 없다…권성동이 내놓은 ‘중과세 폐지’에 업계 ‘술렁’

    뉴스 

  • 2
    “25만 원 이재명보다 더하네” 소리 나오는 나라, 혈세 ‘올인’에 폭주

    국제 

  • 3
    "발 디딜 틈 없다" 세계적 돌풍에 사람 몰려... 주민들 '함박웃음'

    오피니언 

  • 4
    "벌써 2년째"...민주주의 후퇴하고 있다는 '심각'한 한국 상황

    사건사고 

  • 5
    ”토토 아니죠“ 베팅사이트에 등장한 220억 판돈 내기의 정체, ‘미쳤네’

    뉴스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