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서울서 23억짜리 매물 갑자기 사라져… 이유 뭔지 봤더니

박신영 기자 조회수  

서울, 재건축 위주 상승
23억 매물 사라져
“집값이 더 오를 것 같아서”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서울 강남 3구·용산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지정에 더불어 대통령 탄핵정국이 종료되면서 서울 집값 상승폭이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의 4월 첫 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전국 매매가격은 0.02%, 수도권은 0.01%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하락세가 가팔라졌다.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집값은 상승세를 타고 지난달 17일 0.02%로 상승 전환된 바 있다. 하지만 같은 달 19일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한 이후 3월 24일 0.01%, 3월 31일 0.01%, 4월 7일 -0.02%로 3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수도권(0.03%→0.01%)과 서울(0.11%→0.08%)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지만 상승폭이 다소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달 17일 0.25%까지 올랐지만, 3월 24일 0.11%, 3월31일 0.11%, 4월 7일 0.08%로 매주 상승폭이 하락했다.

강남구(0.20%)는 압구정·개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으며, 송파구(0.16%)는 방이·신천, 양천구(0.14%)는 목·신정동, 영등포구(0.11%)는 당산·신길동 주요단지, 서초구(0.11%)는 잠원·반포동을 중심으로 집값이 인상했다.

출처 : 한국부동산원
출처 : 한국부동산원

이러한 현상과 관련해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지만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가 확대되는 등 전반적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줄어들었다”라고 이야기했다.

강남에서는 23억 원짜리 매물이 잠시 등장했다가 곧바로 사라지는 사례도 나타났다.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자, 집주인들이 처음 내놓았던 가격보다 더 높은 금액을 기대하며 매물을 거둬들인 것이다.

재건축 기대감에 지난달 일부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발생하기도 했다. 아파트별로 살펴보면 도곡 대림아파트(전용 84㎡)는 21억 원, 도곡 삼익아파트(전용 104.1㎡)는 21억 5,000만 원, 역삼럭키아파트(전용 84.97㎡)는 23억 4,000만 원에 매매되었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한 공인중개사는 “최근 시세와 비슷한 23억 5,000만 원짜리 매물이 나왔다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다“라며 “집값이 더 오를 것 같으니, 매물을 거둔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제 막 관심을 받는 중인데 토허제로 제재를 받게 되어 아쉽다”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최근 ‘도곡우성아파트’가 본격적으로 재건축 절차에 들어서면서 시세가 꿈틀거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31일 조성명 강남구 구청장은 도곡 우성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 조합설립 인가를 승인했다고 전했다. 이번 승인을 계기로 해당 단지는 사업시행 인가와 관리처분계획 등의 절차를 거쳐 본격적인 재건축 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출처 : 강남구
출처 : 강남구

도곡우성아파트는 도곡동 934-10번지 일대에 자리 잡고 있는 1980년대에 건설된 단지로, 인근에 학교와 공원이 많이 있기 때문에 양호한 주거 환경을 자랑한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용적률 299.53% 이하, 최고 26층(높이 80m 이하), 총 7개 동, 548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이 들어설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합설립 인가는 2021년 주민 제안 이후 4년 만에 이루어진 성과로, 보통 6년 정도 걸리는 절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됐다. 해당 단지는 2023년 3월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은 뒤, 올해 1월 창립총회를 열고 토지 및 소유자 89%의 동의를 얻어 2월에 인가 신청을 마친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서는 신속한 사업 진행을 두고 강남구의 ‘재건축드림지원TF’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또한 행정 절차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주민 간 갈등을 잘 해결한 덕분에 빠른 동의율을 얻을 수 있었다고 판단했다.

재건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집값도 상승세를 보였다. 전용면적 76㎡는 지난달 18일 19억 3,000만 원에 거래되었다. 지난 2월 동일 평형이 18억 2,500만 원에 거래된 것을 고려했을 때 한 달 새 1억 500만 원이 오른 것이다.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7일 20억 3,500만 원에 매매되었다. 작년 12월에 같은 층, 같은 면적의 거래가 19억 8,000만 원에 이루어 졌던 것을 고려하면 3개월 사이에 5,500만 원이 상승한 것이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주지훈, 랩몬스터 산다" 연소득 가장 높은 '이 아파트’, 어디길래...
  • 점점 심해지는 '전세의 월세화'...높아진 문턱에 청년들 '울상’
  • 암 전문가들이 “나는 안 먹는다”라고 말하는 음식 5가지
  • "매매혼 논란" '농촌 남성 장가보내기' 드디어 폐지됐다
  •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외신이 충격받은 진짜 이유는?
  • "집값이 벌써..." 이재명 효과 보기 시작한 지역, 여기입니다

추천 뉴스

  • 1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외신이 충격받은 진짜 이유는?

    기획특집 

  • 2
    "유서에는..."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 사망한 채 발견됐다

    사건사고 

  • 3
    "화염방사기로.." 봉천동 아파트에 발생한 화재 사건, 방화범 소행이었다

    사건사고 

  • 4
    "집값이 벌써..." 이재명 효과 보기 시작한 지역, 여기입니다

    기획특집 

  • 5
    “홍준표는 싫다”는 대구, “김문수가 낫다”는 부산… 민심 갈라졌다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이재명 아파트라더니..." 얼마 전 최고가 찍었다는 아파트 정체

    기획특집 

  • 2
    "앞으로 집 안 산다" 이수지, 분양사기 당한 금액만 무려...

    기획특집 

  • 3
    "내 수업은 어떡하라고" 한국인 교수 미국에서 비자 취소당했다

    오피니언 

  • 4
    “아시아 베네치아라더니..." 외국인들 실망하고 떠난다는 도시

    기획특집 

  • 5
    "매출 3조 넘었는데.." 스타벅스가 높은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이유

    기획특집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