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는 그 당시 전설이었다”
사회주의 운동 노선에 회의감
김영삼 대통령이 집권당 입당 권유

최근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하자,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기정사실로 여겨왔던 더불어민주당에서 불안감이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탄핵 정국에서 지지율이 치솟은 대권 잠룡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이 중 가장 유력한 여권 대권주자로 불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시민들의 이목이 쏠린다.

당초 김문수 장관은 탄핵 정국에서 지지율이 치솟으며 상승세를 보이던 초기,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김문수 장관의 지지율은 여전히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21일 한국갤럽이 진행한 차기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김 장관은 여권 주자들 가운데 국민의힘 지지층으로부터 가장 많은 응답인 23%를 얻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10%를 기록한 한동훈 전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선 결과다. 더하여 김 장관은 보수층에서도 21% 응답을 얻어 선두를 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갤럽 조사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 대상에서 1월부터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지난 1월에는 2주 차(국민의힘 20%·보수층 19%), 3주 차(국민의힘 18%·보수층 18%)에서 오차범위 안에서 선두 경쟁을 벌였고, 4주 차(국민의힘 28%·보수층 25%)에서 1위를 달렸다.
또한, 2월 김 장관은 차기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가 실시된 2주 차(국민의힘 30%·보수층 26%)부터 3주 차(국민의힘 25%·보수층 23%), 4주 차(국민의힘 26%·보수층 23%) 모두 다른 여권 주자들을 오차범위 밖에서 따돌린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3월도 1주 차(국민의힘 27%·보수층 24%), 2주 차(국민의힘 25%·보수층 23%)로 여권 1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김 장관 독주가 멈추지 않고 석 달 가까이 이어지자, 그를 바라보는 정지권의 시선 역시 달라졌다. 이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나오면 지금 김 장관이 우세한 여론 지형이 뒤바뀔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던 반면에 최근에는 선고 이후에도 김 장관의 지지율이 공고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김문수 장관에 대한 정치권의 시각이 달라지자, 시민들 역시 그를 주목하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김문수 장관은 과거 ‘진보 진영의 상징’으로 통한 인물이다. 실제로 일부 운동권 출신 인사들이 보수로 전향하는 건 극히 드문 일에 속한다.
특히 진보 진영과 노동계에서 보수로 돌아선 이들을 두고 변절자라는 비판이 이어지기도 했다. 김문수 장관의 경우 1970년대 대학생 신분을 숨긴 채 공장에 위장 취업 하며 파업을 주도하는 등 노동 운동에 앞장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군부 독재 시절 노동 운동과 민주 항쟁 과정에서 두 차례 구속되었고, 학교에서 두 차례 제적당하는 등 노동계의 ‘전설’과 같은 인물이었다. 다만, 그는 보수 여당의 국회의원으로 변모했다. 이는 1991년 소련 정권이 무너지면서 김문수의 신념이 흔들렸기 때문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김문수 장관은 소련이 붕괴하자 기존 사회주의 운동 노선에 회의감이 밀려와 노동운동 세력을 규합하기 위해 민중당을 창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14대 총선에서 민중당이 단 한 명도 당선되지 못한 채 참패하며 그의 생각을 완전히 뒤바꿔 놨다.
이후 김영삼 대통령이 집권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입당을 권하며 김문수 장관의 인생은 달라졌다. 특히 그는 문민 개혁을 나름 높게 평가했던 김영삼 대통령의 권유로 민주자유당에 입당했다. 민주자유당은 박정희의 민주공화당과
전두환의 민주정의당 계보를 이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그를 두고 “노동운동을 배신한 변절자”라고 불렀다. 더하여 그가 최근 보수의 아이콘과 대선 주자로 급부상하며 그를 바라보는 ‘변절자’라는 시각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댓글1
지랄하고자빠졌네 염병하고있네 띄울 인간이 그렇게 없냐 저런 모지리를 띄우는 자체가 어이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