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국 매출이 2,944억인데… 기부금 100만 원 냈다는 유명 브랜드

허승연 기자 조회수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한국 매출이 2,944억 원에 달했던 글로벌 명품 브랜드 롤렉스가 100만 원의 기부금을 지출한 사실이 알려졌다. 해당 사례는 미용 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의 기부금 논란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클래시스는 2023년 기준 매출 2,492억 원, 영업이익 1,225억 원을 기록했으나, 같은 해 기부금은 50만 원에 그쳤다. 2024년 9월 기준 누적 기부금도 50만 원으로 확인됐다.

클래시스는 2021년 매출 1,006억 원에서 2022년 1,418억 원, 2023년 1,801억 원으로 성장했고, 지난해에는 34.9% 증가한 2,492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2,000억 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도 896억 원에서 36.6% 늘어 1,225억 원을 기록했다.

출처: 뉴스1
출처: 뉴스1

기부금 규모는 업계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2024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제이시스메디칼은 9,390만 원, 원텍은 1,766만 원을 각각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이 인색하다고 평가받는 명품 브랜드들과 비교해도 클래스는 더 적은 수준이다. 디올은 2023년 매출이 1조 원을 넘었지만, 기부금은 1,920만 원에 그쳤다. 또 다른 명품 브랜드인 롤렉스는 2022년 기부금이 4억 원이었으나 2023년에는 100만 원으로 감소했다. 해당 해 롤렉스의 국내 매출은 2,944억 원으로 클래시스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의료기기 업계 관계자는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사회공헌 실적이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에서는 국가검진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면 기업의 사회공헌 기록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며 “클래시스는 미용 중심이긴 하지만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중시하는 EU 특성상 사회공헌 실적 부족은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클래시스는 고객과 거래처를 포함한 품질 및 안전 관리에 우선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기부나 사회공헌 활동은 장기적으로 검토할 영역이지만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댓글2

300

댓글2

  • 불매

    불매하면되요

  • 한국에서 그렇게 많은 돈을 벌면서 한국에 하나도 기부하지않는건 악질기업이다... 사회공헌이라도 좀 하던가 ..

[국제] 랭킹 뉴스

  • "싫어했던 유일한 종교인?" 트럼프와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숨겨진 전쟁
  • “월급 800만 원 포기한 교황”…떠나며 남긴 재산 보니
  • 마크 저커버그, 백악관 옆 ‘300억 저택’ 매입한 이유
  • "이틀 만에 384조 증발" 난리났다는 엔비디아, 현재 상황
  • 경기 중 이정후한테 헬멧 건드리지 말라고 했다는 MLB 심판
  • "이 타이밍에 테슬라를?" 관세 유예 하루 전, 트럼프 측 의원 ‘미리 알았나’

추천 뉴스

  • 1
    "연봉보다 쏠쏠" 보험사기 제보한 4000명, 포상금만 15억 받았다

    오피니언 

  • 2
    "주둥이 XX고 처먹어" 요양보호사가 치매 노모에게 했다는 행동

    사건사고 

  • 3
    "300만 원 준다고" 전 직원에 자사주 10주 지급하겠다는 기업, 어디일까?

    기획특집 

  • 4
    “이재용도 실패했는데...” 중대한 결정 내렸다는 롯데 신동빈

    기획특집 

  • 5
    “부동산 때문이라더니" 싱크홀 논란 터진 서울시장 오세훈, 결국...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아들 앞에서.." 쇠 파이프로 아내 폭행해 살해한 변호사, 형량 이렇게 나왔다

    사건사고 

  • 2
    “여기, 강남보다 뜬다" 억대 상승 이어지는 목동, 알고 보니

    기획특집 

  • 3
    13년 만에 8,000억 원 손실 났다는 4대 은행, 원인 밝혀졌다

    기획특집 

  • 4
    "이랜드가 인수하려고..." 이제는 하나의 기업이 됐다는 야구단

    기획특집 

  • 5
    "너무 많이 보인다 했어" 36년만에 점포 줄인 업계, 어디일까

    오피니언 

공유하기

2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