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내 세금 공중분해?’.. 서울시 교통 ‘이것’ 예산 삭감, 운전자들 초비상

서윤지 기자 조회수  

선진국들 늘리는 추세임에도
교통사고 개선 사업 예산 축소
반대로 가는 행정에 아쉬움 多

서울시-예산-삭감

지난 15일 도로교통공단이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공개했다. 2022년 국내 교통사고로 인해 약 26조 2,833억 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6% 감소한 수치로 2018년 조사 이후 첫 하락세이다.

2022년 국내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연간 GDP의 1.2%, 국가 예산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교통사고를 줄여야 한다. 하지만 14일 서울시가 이와 반대되는 결정을 내리면서 의문점을 만들고 있다.

서울시-예산-삭감
서울시-예산-삭감

결단 내린 서울시
사업 예산 삭감한다

서울시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 예산을 6년 만에 삭감했다.
개선 사업 예산 삭감 이유는 세수 부족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시는 예산 삭감으로 한 곳에 투자되는 총비용은 줄어들지만, 예산 내에서 최대한 많은 곳에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은 대상 지점별 교통사고에 따라 교차로 형태 개선. 신호기 및 횡단보도 위치 조정, 차선 및 안전 시설 보수 등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무단횡단 사고가 빈번한 지역에 무단횡단 금지시설, 보행자 방호 울타리 등을 설치하는 것이 그 예이다.

사진 출처 = ‘뉴스1’

교통안전 책임 지던 사업
예산 삭감 얼마나 될까?

작년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 예산은 73억 2,800만 원이었다.
2001년부터 시행된 이 사업은 2018년 11억 9,900만 원에서 2019년 68억 2,100만 원으로 증가,
이후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며 더 많은 투자가 이뤄냈다. 허나 이런 증가 추세도 6년 만에 끝을 맺게 됐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교통사고 잦은 곳 사업 예산은 국비지원금 36억 6,000만 원을 포함한 55억 6,928만 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 예산은 시설 개선 집행 예산으로 51억 2,000만 원, 설계 용역 시행으로 2억 7,600만 원, 신호기 감리 시행으로 1억 7,328만 원으로 이루어져 올해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사진 출처 = ‘뉴스1’

거꾸로 가는 서울시 행정?
전문가들 아쉬움 전했다

서울시는 올해 사업을 통해 더 많은 곳에 시설 확충을 하겠다고 전했다.
지난해 용역 결과 52곳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응하여 서울시는 오는 3월부터 12월 50여 곳의 시설 개선에 나선다. 지난해는 총 44곳에 대한 사업을 완료한 것에 비해 늘어난 수치이다.

서울시 교통사고 잦은 곳 사업 예산 축소는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한 전문가는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투자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에도 예산이 감소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전하며 발전이 아닌, 오히려 퇴보하는 예산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자동차와 관련된 뜨거운 이슈들
제보는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author-img
서윤지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2

300

댓글2

  • 정치를 해본 사람이 대통령해야 되는데 정치도 한번도 안해본 자가 대통령이 되더니 국민의 세금으로 온세계나 돌아다니고 교통안전예산 삭감이라 삭감된 돈은 운전자들에게 부담하는 거겠지. 사상 최대 법칙금으로 2조원 넘게 거두이 들였으니 이게 다 국민들의 돈이 아니고 무엇인가? 돈없는 서민들은 다 죽으라는건가? 나라 돌아 가는 꼴이 망하는 길이다. 하루 빨리 물러가야 대한민국이란 나라가 존재한다.

  • 이거 너무한거 아니야?대통 작자 부부는 국세로 지들은 온 세계를 쳐돌아 다니면서 흥청망청 나라이득도 없이 퍼주면서 써제끼고 돌아다니면서 또 국내에서는 지들 가족들 밥그릇이나 챙기는 주제에 국민들위해 쓰는돈은 아까운거야? 줄일껄 줄여라 이 꾀씸한 것들아

[기획특집] 랭킹 뉴스

  • “尹 계엄 증거 30년 동안 못 볼 수도 있다“ 이유 살펴보니...
  • "수출 중단하겠다" 중국 한마디에 미국이 긴장하는 이유
  • “챗GPT 3만 원은 부담" 사람들이 발견했다는 월 8000원에 쓰는 방법
  • 샤이니 민호가 산 '하정우 고급 주택' 금액만 무려...
  • “교실부터 청와대까지" 졸업사진이 사라지는 뜻밖의 이유
  • 매출 4조 원 기록한 다이소의 효자 사업, 이거였다

추천 뉴스

  • 1
    "내란 수괴 호위무사 잡을까" 대통령실 압수수색 들어갔다는 경찰, 현재 상황

    뉴스 

  • 2
    "다른 모습을 보여야..." 이준석이 말한 오세훈의 불출마 이유

    뉴스 

  • 3
    '제2 윤석열 될까' 보수 2위 오른 ‘한덕수’ 향해 민주당이 보인 반응

    뉴스 

  • 4
    미국 스포츠 매체가 이정후를 '일본인'으로 착각했던 이유

    뉴스 

  • 5
    "이재명 아니었다" 대선후보 적합도 1위 차지한 사람은?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박정희 대통령 덕에 '샤워 자주한다'는 김문수 전 장관 발언

    뉴스 

  • 2
    “이재명 대통령이었으면 탄핵 됐을 듯” 한동훈이 날린 일침

    뉴스 

  • 3
    "350억 규모" 금융사고 발생한 하나은행, 원인 뭔지 봤더니...

    오피니언 

  • 4
    “박정희 때는 총 맞고 죽은 사람 없잖아” 김문수 발언에 쏟아진 반응

    뉴스 

  • 5
    횟집 수족관에 '발길질'하고 도망간 남성, CCTV 영상 충격적이다

    사건사고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