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황금연휴 어서 오고” 알아두면 100% 도움 된다는 추석 귀성길 꿀팁

서윤지 기자 조회수  

6일간의 추석 황금연휴
안전한 귀성길을 위한
장거리 운전 점검 사항

추석-귀성길

9월28일 목요일을 시작으로 10월3일 화요일까지, 무려 6일간의 추석 연휴 기간이 다가왔다.
연휴가 긴 만큼 고향을 방문하기 위해 귀성길에 오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차도 막힐 테고, 장거리 운전을 할 운전자들도 많을 텐데, 이런 연휴 기간에는 피로도 누적 등으로 인한 졸음운전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긴 연휴 기간을 앞두고 있어, 모두가 즐겁게 기다리고 있을 추석 귀성길, 즐거운 만큼 안전하면 더욱 좋지 않을까? 이번 시간에는 귀성길과 장거리 운전하기 전, 미리 신경 쓰면 좋을 몇 가지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사진 출처 = “한국도로공사”
추석-귀성길
사진 출처 = “뉴스1”

안전운전의 기본
졸음운전 예방하기

장거리 운전 시, 가장 위험한 것은 당연히 졸음운전일 것이다.
졸음운전을 하지 않도록 귀성길에서도 주의해야 하지만, 연휴가 끝나고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 귀가하는 길에 더더욱 주의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이다.

운전자는 운전하기 전날, 되도록 충분한 숙면을 취하고, 과도한 음주를 삼가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이른 아침이나, 식사 직후에 운전하여 졸음이 온다면, 창문을 열어 내부를 환기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만약 그래도 졸음이 가시지 않는다면, 절대 억지로 운전하려 하지 말고, 가까운 졸음쉼터나 휴게소에 들러 휴식을 취해야 한다.

사진 출처 = “뉴스1”

장거리 운전 전
자동차 점검 필수

장거리 운전은 평소보다 차량에 더 많은 무리를 줄 수 있기에, 출발 전에 미리 차량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차량의 시동을 킬 경우, 엔진이 과열된다. 만약 이 상황에서 냉각수가 부족하다면, 엔진의 열기를 식힐 수 없어, 내부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의 잔량을 점검하고, 미리 채워두는 게 좋은데, 냉각수를 채울 때도 반드시 차량의 시동을 끄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표시된 눈금만큼 냉각수를 채워주면 된다.

그리고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심하면, 장거리 운전 중 도로 위에서 미끄러지거나 타이어가 터져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출발하기 전 타이어 마모도와 공기압을 확인해야 하고, 각 바퀴마다의 공기압도 최대한 맞춰야 할 것이다. 타이어 공기압은 최대 공기압의 80% 수준이 적절하고, 100원짜리 동전을 타이어 홈에 끼웠을 때, 감투가 반 이상 보이면, 타이어를 즉시 교체해야 한다.

사진 출처 = “뉴스1”

절대 과속 금지
안전거리 유지하기

장거리 운전을 하기 전, 졸음운전이나 차량의 점검할 부분들을 신경 쓰더라도, 장거리 운전에 지쳐 일찍 귀가하고픈 마음에 과속 운전을 하거나 차선을 지키지 않는 경우들이 꽤 흔하다고 한다. 모두의 안전한 귀갓길을 위하여 갓길 운전을 해서는 안 되고, 안전속도를 준수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지금까지 귀성길 및 장거리 운전 전에 점검하면 좋을 것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도로 위에선 어떤 사고가 일어날지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나와 내 가족들을 위해 미리 차량을 점검하고, 긴장을 늦추면 안 될 것이다. 우리 모두 안전하고 행복한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조금만 더 신경을 써 보는 건 어떨까?

[기획특집] 랭킹 뉴스

  • "입주한 지가 언젠데“ 추가 분담금 1500만원 더 달라는 아파트
  • 이베이는 실패하고, 스타벅스와 맥도날드는 성공한 이유
  • "전체 1위" 첫방부터 시청률 13.6% 기록한 한국 드라마
  • "10억 넘게 투자했는데..." 폐허로 방치되고 있는 공원
  • "부동산 관망세인데..." 연일 최고가 경신 중인 지역, 어디일까?
  •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추천 뉴스

  • 1
    20년 만에 드디어 재건축된다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어떻게 바뀔까?

    기획특집 

  • 2
    "세입자만 약자냐" 정부 가이드라인에 집주인들 분노한 이유

    기획특집 

  • 3
    "마음 편히 살겠다" MZ세대가 아파트 대신 선택한다는 주거 형태

    오피니언 

  • 4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들이 요구한 배상금 액수

    사건사고 

  • 5
    OTT 시장 커지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PPL, 어떻게 달라졌을까?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삼성전자 팔아버린 외국인 투자자, '이 종목'은 쓸어 담았다

    기획특집 

  • 2
    “포스코·현산 정면으로 붙었다”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 대어’라는 지역

    오피니언 

  • 3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지역, 어디일까?

    오피니언 

  • 4
    “일 안 할래요..." 실업급여로 1억 받아간 사람 있었다

    사건사고 

  • 5
    1000만 원으로 시작해 대기업 만들어낸 한국 IT의 대부

    기획특집 

공유하기

36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