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내신 6등급도 합격했다” 선호도 폭락했다는 대학교, 어디일까?

이시현 기자 조회수  

최근 교대 입시 합격선 ↓
교권 추락에 따른 선호도 하락
담임 기피 현상에 보건교사 차출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당초 학생들 사이에서 꾸준히 장래 희망 1위로 꼽혀온 교사직에 대한 인기가 예전과 같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하여 최근에는 교대 입시 합격선이 크게 낮아지며 교직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교대 입시에서는 내신 6~7등급, 수능 4등급 대에서도 합격자가 나와 과거 선망받던 직업으로서의 매력이 크게 퇴색된 것이 드러났다. 종로학원의 분석에 따르면 서울교대, 춘천교대, 광주교대 등 주요 교대의 수시 및 정시 합격선이 수년째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특히 서울교대의 수시 일반전형 내신 평균 합격선은 2.10 등급으로 지난해 1.97등급보다 하락했으며, 학생부 종합전형도 2023학년도 1.68등급에서 2025학년도 2.45등급으로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춘천교대는 수시 최저 합격선이 6.15등급으로 조사되어 3년 만에 2등급 가까이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현상은 정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서울교대는 자체 환산 점수 기준으로 전년도 621.74점에서 올해 618.41점으로 감소했고, 춘천교대와 광주교대 역시 각각 3.82등급과 4등급 중반대로 떨어졌다.

이처럼 정시 합격선 하락은 수능 등급 하락뿐 아니라 전체 교대의 모집 인원이 줄었음에도 나타난 현상으로 알려져 관련 업계에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대에 대한 선호도 하락이 이러한 현상을 심화시켰을 것으로 지목했다.

실제로 전국 10개 교대의 미충원 인원은 꾸준히 증가해 2024학년도에는 23명에 달했다. 선발 인원을 줄였음에도 지원자가 줄어드는 모습은 교대와 교직의 인기가 동시에 하락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출처 : 서울시 교육청
출처 : 서울시 교육청

교대 인기가 하락한 배경으로는 교권 추락과 신규 초등교사 채용 감소가 꼽힌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교사 채용 인원이 줄어들면서 임용고시 합격률도 낮아졌다. 지난해 국회 교육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4학년도 교대 졸업생의 임용고시 합격률은 51.7%에 그쳤다. 높은 경쟁률에도 임용 실패 사례가 늘면서 수험생들은 교대 진학을 꺼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교권 약화로 인해 현직 교사들의 직업 만족도도 하락한 상황이다. 실제로 서울시교육청 교육 연구 정보원이 초중고 교사 2,5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초등교사의 42.5%가 이직 의사를 밝혔고, 이는 중등교사(34.8%)와 고등 교사(34.7%)보다 높은 비율이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특히 초등교사들은 학부모 상담과 행정 업무로 인한 부담감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보수의 적절성에서도 낮은 평가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OECD 평균보다 13% 낮은 초임 교사 급여 역시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 것이다.

아울러 교직을 떠나는 현상은 신입 교사들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설문조사 결과 4년 차 교사의 58%, 8년 차 교사의 62%가 이직 의향을 밝혔다. 젊은 교사들의 이탈은 공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우려를 낳고 있으며, 교대 내에서도 중도 탈락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10개 교대의 중도 탈락자는 621명으로 5년 전보다 347% 늘었다.

한편, 교사 부족 문제는 교단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담임교사를 맡으려는 지원자가 부족해 일부 학교에서는 보건교사를 담임으로 차출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출처 : 셔터스톡
출처 : 셔터스톡

중앙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수도권의 한 중학교에서는 정교사 자격증이 있는 보건교사가 담임을 맡았다. 해당 교사는 학부모의 신뢰 부족과 업무 미숙으로 인해 큰 부담을 느꼈지만, 아이들의 성장에서 보람을 찾으며 버티고 있다고 전했다.

교대 합격선 하락과 교직 기피 현상은 공교육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합격선이 낮아지면 공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교직에 대한 처우 개선과 교권 회복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낮은 임금, 높은 행정 업무 부담, 사회적 존중 부족은 교직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공교육의 질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교권 회복과 처우 개선, 임용 절차 개편이 절실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획특집] 랭킹 뉴스

  • “비트코인 빨리 해야 해”…유재석 발언, 다시 조명받는 이유
  • “1억 4,700만 원 내라고요?” 李 정부 출범에 혼선 온 부동산 상황
  • 韓 기업이 중동에 세웠다는 ‘가짜 도시’의 실제 모습
  • '공휴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추진에 급락한 종목, 이거였다
  • “굿 한 번에 1,000만 원?”…20대가 굿판에 뛰어든 진짜 이유
  • “비흡연자인데 제가 폐암이라고요?” 문제는 ‘이것'이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제작비’로 쓴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제작비’로 쓴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 시청률 9.2% 기록하며 10% 돌파 코앞에 둔 ‘글로벌 인기 한국 드라마’
    시청률 9.2% 기록하며 10% 돌파 코앞에 둔 ‘글로벌 인기 한국 드라마’
  •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 “이번에도 명차일까” 아이오닉 6 N, 공식 이미지 공개된 근황
    “이번에도 명차일까” 아이오닉 6 N, 공식 이미지 공개된 근황
  • “실연비 20km/l” 지금 사면 2천만 원인 국산 중형 세단
    “실연비 20km/l” 지금 사면 2천만 원인 국산 중형 세단
  •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 진하게 갈아낸 고소함이 가득한 콩국수 맛집 5
    진하게 갈아낸 고소함이 가득한 콩국수 맛집 5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제작비’로 쓴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작정하고 ‘300억원 이상 제작비’로 쓴 한국 영화의 엄청난 퀄리티 수준
  • 시청률 9.2% 기록하며 10% 돌파 코앞에 둔 ‘글로벌 인기 한국 드라마’
    시청률 9.2% 기록하며 10% 돌파 코앞에 둔 ‘글로벌 인기 한국 드라마’
  •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무려 13년 째…’ 역대급 사골 테슬라 모델 S/X, 3차 페이스리프트로 생명 연장!
  •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현대차 끝판왕 스포츠카 유출’ 공도 최강 포르쉐 넘보는 성능 기대!
  • “이번에도 명차일까” 아이오닉 6 N, 공식 이미지 공개된 근황
    “이번에도 명차일까” 아이오닉 6 N, 공식 이미지 공개된 근황
  • “실연비 20km/l” 지금 사면 2천만 원인 국산 중형 세단
    “실연비 20km/l” 지금 사면 2천만 원인 국산 중형 세단
  •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쫄깃하면서 시원한 식감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모밀 맛집 4
  • 진하게 갈아낸 고소함이 가득한 콩국수 맛집 5
    진하게 갈아낸 고소함이 가득한 콩국수 맛집 5

추천 뉴스

  • 1
    “이재용 한국 1위” 세계 18위에 이름 올린 ‘이것’

    뉴스 

  • 2
    “니네 집 몇 평이야?”…초등생 사이 벌어진 ‘아파트 계급’

    뉴스 

  • 3
    “제대로 각성했다”...'중대 결단' 내렸다는 제네시스 근황

    뉴스 

  • 4
    "일본 아니야" 한국인 선호 여행지 1위 어딘지 봤더니

    뉴스 

  • 5
    “힘들게 4억 모았는데…” 몰래 카드 쓴 친구에 네티즌 ‘충격’

    사건사고 

지금 뜨는 뉴스

  • 1
    “중국선 안 팔리네”…스타벅스, 결국 ‘이 결단’ 내렸다

    뉴스 

  • 2
    “아이돌 접고 이 일 시작했더니…성수기 월 1,500만 원 벌어요”

    뉴스 

  • 3
    "대포 통장만 400개" 2030 범죄 조직, 세탁했다는 돈만 무려...

    뉴스 

  • 4
    “업계 최초다?”…삼성화재가 내놓은 ‘이 보험’ 뭐길래

    뉴스 

  • 5
    1년 전 재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세기의 이혼소송, 지금은?

    오피니언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