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관광 거리, 위조 상품 가게
외국인 관광객만 받아
‘짝퉁’ 상인 적발, 200억 원 규모

비상계엄 여파로 인해 상권이 많이 침체한 가운데 명동 관광 거리에 위조 상품 상가들의 수입이 밝혀지면서 이목이 쏠렸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이 지속되면서 집회 현장 인근 지하도 상권이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명동 지하상가에서는 손님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며, ‘폐점’이라고 적힌 종이가 매장 곳곳에 붙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하상가의 상인들은 “갑자기 발생한 12.3 비상계엄과 이어진 탄핵 정국은 간신히 살아나기 시작한 상권을 다시 얼어붙게 하면서 매출이 급락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명동 지하상가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한 상인은 “정치적으로 나라가 시끄러우면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라며 “명동 방문객이 전년 대비 체감했을 때 60%도 안 되는 것 같다. 유럽과 미국에서 오는 관광객이 많이 줄어든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실제로 일부 국가에서는 최근 한국 방문을 자제할 것을 권하기도 했다. 지난 26일 주한중국대사관은 대규모 집회에서 혐중 시위의 수위가 높아질 것을 우려해 “집회가 열리는 곳 인근에 머물거나 방문을 피할 것을 한국에 체류하는 중국 국민과 중국 관광객들에게 거듭 당부한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명동 관광 거리에는 외국인이 줄어들어도 한국인은 절대 안 받는다는 상가가 존재했다. 해당 상가는 서울 명동 관광 거리 일대에서 외국인 관광객만 대상으로 가방, 의류, 지갑 등 위조 상품을 팔아 이익을 거둬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특허청 상표특별사법경찰(상표경찰)이 이들을 잡기 위해 나섰다.
지난 20일, 상표경찰은 지난달 13일부터 24일까지 명동 관광 거리에서 집중 단속을 벌여, 위조 상품을 판매하던 6개 매장에서 총 3,544점(정품 기준 약 200억 원 상당)을 적발하고 압수했다고 공표했다.

이들은 가방 가게 등을 앞세워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가방, 의류, 지갑 등의 위조 상품을 판매하고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해당 혐의를 받는 피의자들은 호객꾼을 이용해 외국인 관광객을 매장으로 끌어들인 이후 매장 내 비밀공간에 있는 위조 상품을 SA급, 미러 급이라고 소개하며 상품을 팔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비교적 쇼핑에 약한 여성 관광객들을 주 대상으로 호객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피의자들은 평소에는 매장 문을 닫아놓고 호객꾼이 손님을 데리고 오면 위조 상품을 판매하고 다시 매장 문을 닫는 행태로 영업을 진행하면서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들은 판매영업장을 만들 때부터 판매 매장을 제외한 비밀공간을 구비해놓고 위조 상품을 팔기도 했다. 상표 경찰은 지난해 6월부터 외국인 관광객 쇼핑 필수코스인 명동에서 단속망을 피해 교묘하게 위조 상품을 판매하는 이들을 잡기 위해 수사한 바 있다. 상표 경찰은 앞으로도 서울 명동 일대의 위조 상품 근절을 위해 지속적인 단속을 펼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신상곤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위조 상품 파는 행위는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중대한 범죄행위다”라며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위조 상품 유통 근절을 위해 현장 단속을 강화하고 제조·유통 경로 등에 대한 기획 수사도 시행할 것이다”라고 이야기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잡아봤자 뒷배경에 대중국이 있기에 방면”, “유튜브로 가짜 엄청나게 팔아 재끼던데. 그런 것도 잡아야지”, “없는 사람들 사게 냅둬여”, “우리나라 사람들은 싫어하는데”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