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제 대선인데…” 유승민이 말하는 ‘이재명 이기는 방법’

박신영 기자 조회수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민심이 원하는 ‘국민 후보’만이 이재명을 이길 수 있다”라며 완전 국민경선 도입을 당 지도부에 촉구했다. 유 전 의원은 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보수도, 국민의힘도 궤멸 위기에 처해 있다. 보수가 배출한 대통령이 또다시 탄핵당한 엄중한 상황”이라며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대선의 운동장은 이미 크게 기울어져 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우리는 대선을 치러야 하며 반드시 이겨야 한다”라며 “당의 모든 선택은 ‘어떻게 대선을 이기느냐’, ‘어떻게 이재명을 이기느냐’에 집중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유 전 의원은 “완전 국민경선이 답”이라며 “과거에도 당이 성문을 닫고 민심에 귀를 막았을 때 참패했고, 성문을 열고 민심에 뛰어들었을 때 승리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예로 들며 “당시 100% 국민 여론조사로 후보를 뽑아 승리했다”라고 덧붙였다.

출처 : 뉴스 1
출처 : 뉴스 1

그는 이어 “중도에서 이겨야 본선에서 이긴다”라며 “국민의힘이라는 이름 그대로, 국민이 원하는 후보를 세워야 탄핵 이후 불리한 대선 구도 속에서도 승리의 희망을 만들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국민의힘은 대통령 후보 경선을 당원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반면 유 전 의원이 주장하는 완전 국민경선은 당원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100% 일반 국민 여론조사로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유 전 의원은 “이기는 길이라면 당원들도 흔쾌히 이해할 것”이라며 “당 지도부와 선관위가 국민 뜻을 받들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조기 대선 경선을 관리할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했다. 선관위는 향후 대선 경선 규칙과 일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author-img
박신영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7

300

댓글7

  • 국짐당 해체가 정답이다

  • 내란당 후보도 내지 마라

  • 또.ㅡ부정선거 되풀이 되지마사야

  • 닥쳐!

  • 국짐당내란당대통령후보자격없습

[뉴스] 랭킹 뉴스

  • "걸리면 2,000만 원 벌금" 6월부터 음주단속, 이렇게 바뀐다
  • "계엄 일으킨 주체들 책임 안졌다" 내란 사태와 관련해 입장 밝힌 이재명
  • '입시 비리' 조민, 2심 결과 나왔다
  • ‘졸음’ 논란에 보수도 분노?... 윤석열 재판 태도에 쏟아진 쓴소리
  • 건진법사 집에서 발견됐다는 5,000만 원 신권, 출처는 어딜까?
  • "요즘 시대에..." 사흘째 정전 중이라는 아파트, 어디일까?

추천 뉴스

  • 1
    "반려견 배설물까지.." 2년 동안 고등학생 가스라이팅한 무속인, 결국

    사건사고 

  • 2
    알고보니 환경오염의 주범이었다는 챗GPT, 살펴보니..

    기획특집 

  • 3
    일본인 초등학생 흉기로 살해한 중국인, 사형 당했다

    사건사고 

  • 4
    이재명 한마디에 주가 들썩이는 '이 종목' 뭐길래?

    기획특집 

  • 5
    "1981년생이 왜..." 식품업계에서 불고 있는 레트로 열풍, 이유는?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어쩐지 비싸더라니..." 日 유명 호텔들, 수십 년 카르텔 밝혀졌다

    기획특집 

  • 2
    "감히 나를..." 60대 남성이 파출소를 자동차로 들이받은 이유

    사건사고 

  • 3
    "건강식 아니였어?" 매일 먹는 '이것'에서 1급 발암 물질 나왔다

    오피니언 

  • 4
    "넷플릭스 1위" '폭싹 속았수다' 열풍 이을 韓 드라마의 정체

    기획특집 

  • 5
    낙하물 비상투하 사고 낸 공군, 아직까지 실탄 못찾았다

    사건사고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