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아파트 가격 급등 경향
‘국평’ 대비 희소성 부각된 영향
압구정 신현대 183㎡ 86억 거래
최근 이어진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인해 전국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중대형(85㎡ 이상) 아파트만큼은 ‘귀하신 몸’ 대접을 받는 것으로 파악돼 부동산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이는 당초 중소형에 비해 선호도가 덜했던 대형 평수 아파트값이 최근 수년간 이어진 공급 가뭄으로 인해 큰 폭으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8일 연합뉴스가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 규모별 매매가격 동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전용면적 135㎡ 초과(약 50평) 아파트 가격은 전월보다 0.4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전용면적 40㎡ 이하는 0.09% 올랐으며 △60㎡ 이하 0.17% △60㎡ 초과∼85㎡ 이하 0.30% △85㎡ 초과∼102㎡ 이하 0.36% △102㎡ 초과∼135㎡ 이하 0.26%의 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이러한 흐름은 최근 수개월째 지속되고 있어 대형아파트가 수분양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월과 10월 135㎡ 초과 아파트는 각각 1.11%와 0.78% 오르며 여러 면적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당초 국민평형으로 불리며 수요가 많은 중형(85㎡ 초과∼102㎡ 이하)의 9월과 10월 상승률은 각각 0.97%와 0.59%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형 공급이 씨가 마른 영향으로 풀이했다. 즉, 대형 아파트값이 오르는 이유가 매물 자체를 찾아보기 어려운 희소성 때문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실제로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지난 2020년 1월부터 지난 11월까지 서울에서 분양한 2만 5,583가구(일반공급 기준)를 면적별로 분석한 결과, 135㎡ 이상 공급 물량은 단 183가구(0.7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량이 줄어들자 부동산 시장이 조정을 받는 가운데서도 강남의 대형 평형은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지난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면적 183㎡는 86억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또한, 지난 10월 말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145㎡도 역대 최고가인 49억 9,000만 원에 거래된 바 있다.
이에 대해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지역은 정비사업 위주로 공급되다 보니 대형 평형은 조합원이 가져가 일반 분양으로 나오는 물량은 더 적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 따르면 대형 평수의 강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희소가치가 반영돼 당분간 이러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공급 측면에서 소외를 당하였던 서울 대형 평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되는 분위기”라며 “대출 규제가 요즘 집값 약세의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대형 아파트의 경우 대출 없이도 자금 조달이 가능한 수요층이 구매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도 가격 강세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당분간 대형 평형 아파트값 상승세가 전망되지만,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가구 변화에 따라 중소형 평형을 제치고 다시 주택시장에서 강자로 자리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19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위축됐던 아파트 거래가 다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나 부동산 업계가 기대감에 들어찼다. 이에 서울의 아파트 거래도 3,000건대로 올라서는 등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 훈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부동산 플래닛이 발표한 ‘2024년 10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은 총 9만 488건으로 9월(7만 1,664건) 대비 26.3%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거래금액도 30조 1,861억 원으로 직전 달 27조 6,755억 원 보다 9.1% 증가했다.
특히 전체 9개 부동산 유형 중 모두 거래량이 상승했고, 거래금액도 상업·업무용 빌딩과 공장·창고(집합)를 제외하면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전국 아파트 거래량 역시 3만 7,893건으로 직전 달(2만 9,978건)과 비교해 26.4% 상승했으며, 거래금액은 9월과 비교해 23.2% 오른 16조 2,681억 원을 기록했다.
즉, 9월 추석 연휴 등으로 미뤄졌던 매수 의사 결정이 10월로 이어지며 거래량이 다소 회복되는 추세다. 또한, 10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투자 심리가 다소 개선된 점, 연말 대출 제한 우려, 그리고 9월1일 시행된 스트레스 DSR로 인해 대출 규제가 강화될 것이라는 불안감에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거래를 서두른 것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댓글1
응 마니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