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금융시장 사로잡은 통장…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이만큼이나 준다구요?”

서수현 기자 조회수  

파킹통장 인기
자유로운 입출금
금융시장 불확실성 수익

“하루만 넣어도 이자 준다”... 금융시장 사로잡은 이 통장
출처 : KBS

파킹통장이 올해 금융 상품 중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파킹통장은 예금액을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 금융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금을 파킹통장에 예치하고 있다. 특히 2024년 11월에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수시입출식 예금에는 약 11조 원이 유입되었으며 이는 대기성 자금의 급증을 나타낸다.

파킹통장의 인기는 각 은행이 제공하는 다양한 상품 덕분에 높아졌다. OK 저축은행의 OK짠테크 통장은 50만 원 이하 예금에 대해 7%의 금리를 제공하며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3%의 금리를 책정한다. 이 통장은 조건도 간단하고 금리가 높은 편이라 이용하기 좋은 상품이다.

“하루만 넣어도 이자 준다”... 금융시장 사로잡은 이 통장
출처 : 뉴스 1

애큐온 저축은행의 간편 페이 통장은 간편결제와 월 평균잔액 실적을 채워야 하지만 이를 충족하기 어렵지 않고 금리가 3.5%로 높은 편이다. 이와 같은 고금리 상품은 파킹통장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킨다.

SC 제일은행의 Hi 통장은 과거에는 높은 금리를 제공했지만, 현재는 혜택을 받아도 금리가 2.1%로 낮아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1금융권 은행이 2%대 금리를 제공하는 점을 감안하면 신규 가입이 아닌 경우 기존의 통장을 유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전북은행의 씨드 모아 통장은 신규 고객을 위한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하며 3개월 동안 3.31%의 금리를 제공한 뒤 이후 2.6%로 금리가 하락한다. 이는 신규 고객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상품으로 우대금리 혜택이 끝나도 무난한 금리를 유지한다.

“하루만 넣어도 이자 준다”... 금융시장 사로잡은 이 통장
출처 : 뉴스 1

광주은행의 365 파킹통장은 6개월 동안 3.1%의 금리를 제공하고 이후 2.6%로 금리가 하락하는 상품으로 1금융권에서 제공하는 금리치고는 괜찮은 수준이다.

경남은행의 BNK 파킹통장은 신규 가입 시 3개월 동안 3%의 금리를 제공하며 이후 2.3%로 금리가 하락한다. 이는 일반적인 파킹통장보다 낮은 금리지만 3개월 동안은 높은 금리를 제공하므로 단기적인 자금 운용에 유리하다.

SH 수협은행의 sh 매일 받는 통장은 1,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예치할 수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이 통장은 6개월 동안 3%의 금리를 제공하며 1,000만 원 이상 예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큰 금액을 예치할 경우 그만큼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다.

“하루만 넣어도 이자 준다”... 금융시장 사로잡은 이 통장
출처 : 뉴스 1

하나은행의 네이버페이 하나 통장은 소액을 예치하는 고객을 위한 상품으로 200만 원까지 3%의 금리를 제공한다. 금액이 적지만 소액 예치자들에게는 유용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신한은행 머니 박스는 2.2%의 금리를 제공하고 우리은행 머니클립은 2.5%의 금리를 제공한다. 이는 낮아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은행들의 파킹통장에 비해 괜찮은 조건으로 평가된다.

“하루만 넣어도 이자 준다”...파킹통장 리스트업
출처 : 뉴스 1

국민은행 모임금과는 모임용 예금 상품으로 금리가 2%로 설정되어 있다. 인터넷 은행들이 제공하는 플러스박스는 2.2%의 금리를 제공한다. 신규 가입 시 앱 다운로드 등의 절차가 필요하긴 하지만 기존 사용자에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카카오뱅크나 토스와 같은 앱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

파킹통장 상품은 금리가 높은 상품은 단기적인 자금 운용에 유리하며 자금을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 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거나 더 높은 수익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한계가 있는 상품이다. 금리가 낮아지거나 예치 금액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며 자신의 자금 운용 목적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피니언] 랭킹 뉴스

  • 경기도 점령했다는 中 전기버스, 투입된 지자체 보조금만, 무려...
  • '아시아프린스 장근석' 80평 대저택 공개했다, 어딘지 봤더니...
  • "내 수업은 어떡하라고" 한국인 교수 미국에서 비자 취소당했다
  • ‘1625억’ 잭팟...관세 폭풍 정면으로 뚫었다는 한국 기업
  • "의사하기 싫음 하지 마라" 인력 절벽에 틈새 노리는 직업, 무엇일까?
  • “관세 폭탄 맞은 줄 알았는데…” 트럼프 덕분에 새로운 기회 생겼다는 K-뷰티 업계

추천 뉴스

  • 1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외신이 충격받은 진짜 이유는?

    기획특집 

  • 2
    "유서에는..."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 사망한 채 발견됐다

    사건사고 

  • 3
    "화염방사기로.." 봉천동 아파트에 발생한 화재 사건, 방화범 소행이었다

    사건사고 

  • 4
    "집값이 벌써..." 이재명 효과 보기 시작한 지역, 여기입니다

    기획특집 

  • 5
    “홍준표는 싫다”는 대구, “김문수가 낫다”는 부산… 민심 갈라졌다

    기획특집 

지금 뜨는 뉴스

  • 1
    “이재명 아파트라더니..." 얼마 전 최고가 찍었다는 아파트 정체

    기획특집 

  • 2
    "앞으로 집 안 산다" 이수지, 분양사기 당한 금액만 무려...

    기획특집 

  • 3
    "내 수업은 어떡하라고" 한국인 교수 미국에서 비자 취소당했다

    오피니언 

  • 4
    “아시아 베네치아라더니..." 외국인들 실망하고 떠난다는 도시

    기획특집 

  • 5
    "매출 3조 넘었는데.." 스타벅스가 높은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이유

    기획특집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