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재계 1위’임에도 무보수로 일한다는 ‘이재용’…이유는 분명했다

문동수 기자 조회수  

국내 대기업 CEO 지난해 보수
정의선 현대차 회장 122억
‘재계 1위’ 이재용의 보수는?

출처 : 뉴스 1

국내 대기업 회장들의 지난해 보수가 공개됐다. 수십억 원대의 수령액에 놀라는 한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100억 원 이상의 보수를 받았다.

최근 현대자동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지난해 현대차로부터 급여 40억 원, 상여 42억 100만 원 등 총 82억 100만 원을 받았다. 여기에 등기임원을 맡은 현대모비스에서 급여 25억 원과 상여 15억 원 등 40억 원을 받았다.

출처 : 현대자동차 그룹

최종 보수는 122억 100만 원이다. 전년보다 15억 7,500만 원 증가했다. 현대차는 “임원 급여 테이블 등을 기초로 하는 급여와 우수한 경영실적을 이끈 것에 대한 기여도를 반영해 책정된 상여를 더한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도 100억 원에 가까운 보수를 받았다. 대한항공과 한진칼의 2023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조 회장은 대한항공에서 39억 1,000만 원, 한진칼에서 42억 4,000만 원을 받아 총 81억 5,000만 원이다. 전년보다 57.3% 증가했다.

출처 : 뉴스 1

대한항공은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4월부터 2022년까지 임원 보수를 일부 반납해 오다가, 지난해부터 정상적인 보수를 지급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유통업계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신 회장은 롯데 웰푸드에서 24억 4,300만 원, 롯데칠성음료에서 30억 9,300만 원 등 총 55억 3,6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호텔롯데와 롯데물산,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롯데쇼핑에서도 보수를 받고 있는데, 이들이 아직 사업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아 보수가 더 증액할 것이다. 실제로 2022년 신 회장은 보수로 총 189억 800만 원을 받았다.

출처 : 뉴스1

여성 CEO 가운데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아니었다. 이부진 사장은 지난해 23억 1,300만 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 13억 6,600만 원에 상여 9억 4,300만 원, 기타 근로소득 400만 원이다. 이는 전년보다 34% 줄어든 것이다.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여성 CEO 자리에 올랐다. 정 총괄사장은 19억 7,500만 원, 상여 17억 1,100만 원 등 총 36억 8,6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5.1% 증가했다. 이 밖에도 김호연 빙그레 회장 20억 6,000만 원,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34억 4,000만 원, 홍석조 BGF그룹 회장 32억 원,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 46억 3,000만 원 등 대기업 CEO들이 고액의 보수를 받았다.

출처 : 뉴스1

한편, 국내 재계 서열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7년부터 ‘무보수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에서도 미등기 임원 신분이다. 다만 이 회장은 배당금을 받고 있다. 14일 재벌닷컴이 공개한 자산 상위 10대 그룹의 2023회계연도 배당금 자료에 따르면 이 회장은 3,244억 원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3,048억 원보다 6.4% 증가한 수치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에서 1,409억 원을 비롯해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등 계열사로부터 현금 배당금을 지급받는다.

author-img
문동수 기자
content@mobilitytv.co.kr

댓글0

300

댓글0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이럴 줄 알았지" 꿈틀대는 서울 집 값, 누가 쓸어 담았나 봤더니
  • U-17 아시안컵 출전하는 가수 김정민 아들...알고 보니 日 국가대표
  • "차기 대통령, 용산 떠난다" 이재명이 던진 승부수는?
  • “전과 4범인데 출마가 가능해?” 이재명이 ‘불사조’로 불리는 이유
  • 무슨 수단 동원해서 이재명 막겠다는 이준석, 살펴보니...
  • 대선 출마 선언한 홍준표, 국방 공약까지 발표했다

추천 뉴스

  • 1
    홍준표도 '알박기' 인사 논란..."직권 남용에 해당"

    뉴스 

  • 2
    U-17 아시안컵 출전하는 가수 김정민 아들...알고 보니 日 국가대표

    오피니언 

  • 3
    "과태료 100만 원" 6월부터 시행된다는 이것, 뭐길래?

    뉴스 

  • 4
    “결국 사망” 아워홈 공장 끼임 사고에 ‘한화’ 언급된 이유

    뉴스 

  • 5
    “내가 승리하면 尹 억울함 푼다” 시장직 내려놓은 홍준표. 작심 발언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최태원 회장 '동거인 김희영'에게 손해배상 청구한 노소영, 결과는…

    뉴스 

  • 2
    “문형배 키웠다” 영화로 개봉한다는 화제의 주인공, 누구길래?

    뉴스 

  • 3
    내일 서초구 아크로비스타로 간다는 윤석열, 주민 반응 엇갈렸다

    뉴스 

  • 4
    한동훈 “추경 10조? 턱없이 부족 ‘이 정도’는 풀어야 한다"

    뉴스 

  • 5
    "어제 저녁 찾아갔는데..." 이철우 경북지사가 전한 윤석열 근황

    뉴스 

공유하기

2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