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위기설 돌더니 작심했다” 물류센터까지 내놨다는 재계 5위 기업

이시현 기자 조회수  

롯데그룹 수도권 물류센터 매각
“유동성 확보와는 거리가 멀다”
롯데케미칼 영업손실 개선 기조

출처 : 롯데물산
출처 : 롯데물산

지난해 ‘유동성 위기설’이 돌며 재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롯데가 최근 수도권 소재의 물류센터 2곳의 매각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재계에서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총 2,000억 원 가치로 평가받는 두 자산을 처분하려는 것”으로 풀이했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의 부동산·자산개발사인 롯데물산이 경기 이천과 안성에 짓고 있는 물류센터 2곳을 매각하기로 한 사실이 전해졌다. 특히 매각에 성공할 경우 롯데물산은 현금 2,000억 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출처 : 롯데지주
출처 : 롯데지주

이를 위해 롯데는 최근 회계법인 등에 매각 자문사 선정을 위한 입찰 제안요청서(RFP)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매각 대상은 안성시 서운면 현매리의 안성 CDC 물류센터와 이천시 대월면 대대리의 물류센터 두 곳으로 확인됐다.

특히 안성 CDC 물류센터는 2023년 착공해 아직 공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천 물류센터의 경우 2022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현재 마무리 단계를 밟고 있다. 즉, 3년 간의 공사가 마무리된 상태로, 두 물류센터의 예상 매각 대금은 약 2,000억 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REP을 발송함에 따라 향후 제안서 접수 및 설명회 등을 거쳐 자문사를 선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자, 일각에서는 지난해 유동성 위기설로 한차례 흔들렸던 롯데그룹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물류센터를 매각하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등장하기도 했다.

출처 : 롯데그룹
출처 : 롯데그룹

그러나 이러한 우려가 전해지자, 롯데물산 측은 이번 매각을 두고 “지극히 회사 본업에 충실한 정상적인 수익 사업이다”라며 “유동성 확보와는 거리가 멀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롯데물산의 한 관계자는 “이번 물류센터 매각은 롯데물산 보유 자산의 효율적 운용과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며 “그룹 차원의 유동성 확보와는 무관하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롯데물산 측 관계자의 설명과 비슷한 맥락으로 올해 롯데그룹은 대기업집단 자산 순위에서 포스코를 제치고 5위로 복귀한 바 있다.

지난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자료에 따르면 롯데는 지난해 유동성 위기설 이후 토지 자산 재평가로 자산이 증가하면서, 철강업 업황 악화 영향을 받은 포스코를 제치고 5위를 탈환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롯데는 지난해 실시한 그룹 소유 토지 자산 재평가를 통해 자본이 13조 원 늘어 부채비율(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백분율)이 200% 아래로 낮아졌다.

출처 : 롯데케미칼
출처 : 롯데케미칼

다만, 롯데의 재계 5위 탈환에도 불구하고 한국신용평가는 롯데의 재무 상태에 대해 냉랭한 평가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자산재평가를 통해 유동성 위기설을 일축했던 롯데의 경영에 적신호가 켜졌다.

8일 한국신용평가는 ‘국내 주요 기업집단의 신용도 점검’이란 제목의 웹 세미나를 통해 “롯데는 고전을 반복하면서 어느새 ‘위기’란 단어가 익숙해진 가운데 재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반전의 카드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전했다.

이는 롯데의 재무 상황이 위험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진단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 2월 롯데가 기업 설명회를 열어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라고 밝힌 것과는 다른 모양새다. 실제로 한신평은 “재무 건전성이 표면적으로만 좋아진 것뿐”이라며 “그룹에 확대된 실질적인 재무 부담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신평의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롯데는 최근 재무구조 개선의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잡히고 있다. 이는 지난해 최악의 한 해를 보내며 롯데의 ‘아픈 손가락’으로 불렸던 롯데케미칼에서 실적 반등의 기미가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 : 롯데지주
출처 : 롯데지주

이는 최근 국제 정세가 점차 안정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롯데케미칼의 공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4조 9,018억 원, 영업손실 1,266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매출은 지난해 1분기 5조 861억 원과 비교해 3.6% 줄었지만, 같은 기간 영업손실 규모가 1,353억 원에서 소폭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매출이 줄었는데도 영업손실 규모를 줄일 수 있었던 건 최근 영업 환경이 우호적인 상태로 돌아선 것 때문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는 원유 가격이 하락한 데다 스프레드(원재료와 판매 제품 간의 가격 차이)가 개선되면서 수익성이 회복된 결과다.

다만, 적자를 완전히 탈출하지 못해 여전히 재무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적자를 완전히 탈출하는 데 수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돼 외형 성장보다는 질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오피니언] 랭킹 뉴스

  • 최고치 찍은 아파트 낙찰가율...이 동네 덕분이었다
  • “中 시에서만 1,900억 투자” 삼성·LG가 노리고 있다는 이 시장
  • 갤러리아 포레 가압류당한 김수현, 현재 시세 봤더니 ‘헉’
  • 이재명 당선에 하루 300명 방문한다는 이곳, 어디일까?
  • 1년 전 재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세기의 이혼소송, 지금은?
  • 방글라데시의 ‘국민 기업’으로 불리는 대기업, 삼성 아니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차기 제임스 본드는 바로 이분? 007 유력 후보로 언급된 ‘흑인 배우’
    차기 제임스 본드는 바로 이분? 007 유력 후보로 언급된 ‘흑인 배우’
  • 현재 예매율 1위인 3,000억원 영화 첫 시사회 반응 나왔다 “제2의 탑건”
    현재 예매율 1위인 3,000억원 영화 첫 시사회 반응 나왔다 “제2의 탑건”
  • “난 뚱뚱한 SUV가 싫어” 세단 타는 아빠들 환장할 대표 국산차 2종 출시!
    “난 뚱뚱한 SUV가 싫어” 세단 타는 아빠들 환장할 대표 국산차 2종 출시!
  • 눈 앞으로 다가온 장마철… 내 차 ‘이것’ 확인 안하면 사고 위험!
    눈 앞으로 다가온 장마철… 내 차 ‘이것’ 확인 안하면 사고 위험!
  • “쏘렌토는 포기했다” 하이브리드인데 3700만 원대 SUV
    “쏘렌토는 포기했다” 하이브리드인데 3700만 원대 SUV
  • “고르기 너무 애매하다” 신차 EV3 vs EV4 뭘 사야 할까?
    “고르기 너무 애매하다” 신차 EV3 vs EV4 뭘 사야 할까?
  • 취향 따라 선택하는 감성 레스토랑 맛집 4
    취향 따라 선택하는 감성 레스토랑 맛집 4
  • 시원한 국물로 속 편안, 인천 칼국수 맛집 추천 5선
    시원한 국물로 속 편안, 인천 칼국수 맛집 추천 5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차기 제임스 본드는 바로 이분? 007 유력 후보로 언급된 ‘흑인 배우’
    차기 제임스 본드는 바로 이분? 007 유력 후보로 언급된 ‘흑인 배우’
  • 현재 예매율 1위인 3,000억원 영화 첫 시사회 반응 나왔다 “제2의 탑건”
    현재 예매율 1위인 3,000억원 영화 첫 시사회 반응 나왔다 “제2의 탑건”
  • “난 뚱뚱한 SUV가 싫어” 세단 타는 아빠들 환장할 대표 국산차 2종 출시!
    “난 뚱뚱한 SUV가 싫어” 세단 타는 아빠들 환장할 대표 국산차 2종 출시!
  • 눈 앞으로 다가온 장마철… 내 차 ‘이것’ 확인 안하면 사고 위험!
    눈 앞으로 다가온 장마철… 내 차 ‘이것’ 확인 안하면 사고 위험!
  • “쏘렌토는 포기했다” 하이브리드인데 3700만 원대 SUV
    “쏘렌토는 포기했다” 하이브리드인데 3700만 원대 SUV
  • “고르기 너무 애매하다” 신차 EV3 vs EV4 뭘 사야 할까?
    “고르기 너무 애매하다” 신차 EV3 vs EV4 뭘 사야 할까?
  • 취향 따라 선택하는 감성 레스토랑 맛집 4
    취향 따라 선택하는 감성 레스토랑 맛집 4
  • 시원한 국물로 속 편안, 인천 칼국수 맛집 추천 5선
    시원한 국물로 속 편안, 인천 칼국수 맛집 추천 5선

추천 뉴스

  • 1
    "심정지 세 번째"…. 김하영, 안타까운 소식 전했다

    뉴스 

  • 2
    “빌 게이츠, 치매 퇴치에 1억 달러”…그가 낙관한 진짜 이유는?

    뉴스 

  • 3
    “중동 전쟁 말려보겠다”는 푸틴에…트럼프가 날린 한마디

    뉴스 

  • 4
    "곰팡이 아니야?"...초록색 고기, 먹어도 안전할까

    뉴스 

  • 5
    “본심 들켰나?”…강훈식 ‘빵’ 터지게 한 이재명 대통령의 한마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김민석 저격’에 두손 두발 다 들었다...민주당이 선택한 마지막 카드는?

    뉴스 

  • 2
    김용태, 최태원 저격...SK텔레콤 해킹 사고 청문회 추진한다

    뉴스 

  • 3
    “챗GPT 자주 썼더니”…MIT 실험 결과는 충격이었다

    뉴스 

  • 4
    510억 들여 '생리대 공장' 차린 유명 아이돌, 품질 논란에 해명 나섰다

    뉴스 

  • 5
    윤석열 9번 언급됐다...이재명 정부 보고서 내용 살펴보니

    뉴스 

공유하기

0

[email protected]